세계일보

검색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입력 : 2013-01-20 09:48:40 수정 : 2013-01-20 09:48:4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추위 강도 엇비슷…"대한 땐 추위에 적응하는 탓"
'대한이 소한 집에 놀러 갔다가 얼어 죽는다', '춥지 않은 소한 없고 포근하지 않은 대한 없다', '소한 얼음이 대한에 녹는다'.

대한(大寒)보다 소한(小寒) 추위가 더 강력하다는 뜻의 속담이 여럿 있다. 과연 맞는 말일까.

절기상 대한인 20일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적인 기상관측이 시작된 1973년부터 지난해까지 소한의 전국 평균기온이 낮은 해와 대한 추위가 더 강한 해는 각각 20번으로 똑같았다.

일 최저기온을 기준으로 해도 대한과 소한이 각각 20번씩 더 추웠다.

한파의 강도도 비슷했다.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 10도 아래로 떨어진 날은 대한과 소한 모두 7번이었다. 소한 중에는 2003년이 영하 14.2도로 가장 추웠고 대한은 영하 13.2도를 기록한 1976년이었다.

최근 40년 동안만 놓고 보면 소한과 대한의 '추위 다툼'은 무승부인 셈이다.

기간이 짧아 단정하긴 어렵지만 최근 들어서는 소한이 대한을 앞서는 경향이 나타난다. 1973∼1982년 중 소한이 더 추운 해는 3번이었지만 최근 10년 사이에는 소한이 7번 더 추워 전세가 역전됐다.

기상청은 이런 경향이 지구 온난화에 따라 겨울철 기온이 전반적으로 오르고 겨울의 길이도 짧아지는 추세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봤다.

그러나 평년(1981∼2010년) 소한의 전국 평균기온은 영하 1.2도, 대한은 영하 1.0도로 아직은 큰 차이가 없다.

적어도 20세기 후반부터는 이름대로 대한이 더 춥지도, 속담처럼 소한 추위가 훨씬 강력하지도 않은 것이다.

실제로 24절기는 중국 화베이(華北)지방의 기후를 토대로 만들어져 우리나라의 계절변화를 정확히 반영하지는 못한다.

그러면 소한이 대한보다 훨씬 춥다는 속담들은 왜 생겨났을까.

전문가들은 사람이 느끼는 추위나 더위가 상대적이어서 비슷한 강도의 추위라도 겨울철 한파가 본격 시작하는 때인 소한 시기가 더 춥게 느껴지기 때문으로 추정한다.

이재원 기상청 기상자원과장은 "대한은 보통 12월부터 이어진 추위에 어느 정도 적응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추위를 덜 느끼는 심리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겨울은 소한 추위가 대한을 압도할 것으로 보인다. 소한인 지난 5일 전국 평균 최저기온은 영하 13.1도로 강력한 한파가 몰려왔다. 반면 대한인 이날 아침 최저기온은 서울 영하 2도, 춘천 영하 9도, 대전 영하 4도, 광주 영하 1도, 부산 영상 1도 등으로 예상된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