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1인당, 평균 27만여명에 전파
당선그룹 트위터 활동 95.8% 달해

국회 입법조사처가 2일 발간한 ‘입법과 정책’에 실린 장우영 대구가톨릭대 교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총선에서 서울지역 출마 후보 중 트위터 계정을 가진 이는 68%였다. 당선자 그룹의 트위터 활동 여부를 분석한 결과 이 수치는 95.8%로 높아졌다. 트위터 캠페인이 선거 승리의 핵심 전략으로 활용됐다는 의미다.
각 후보는 총선 기간인 지난해 3월29일부터 4월11일까지 총 1만7911건의 트윗을 올려 선거전을 독려했다. 후보 1인당 153.1건에 해당하는 수치다. 후보들이 올린 트윗은 총 20만6772회 리트윗(재게시)되며 피라미드 방식으로 인터넷에서 증폭·전파됐다. 그 결과 여야 후보의 선거 트윗을 받아본 네티즌은 총 3349만5065명인 것으로 파악됐다. 후보 1인당 평균 27만6818명의 유권자에게 트윗이 전파되는 위력을 발휘한 셈이다.
트위터는 투표 독려 활동에도 역할을 톡톡히 했다. 총선 당일에만 총 81만여건의 투표 독려 트윗이 발생했다. 이는 2011년 4·27 재·보선 당일 3400여건, 10·26 재·보선 때 2만7000여건에 비춰 총선임을 감안하더라도 월등히 많다. 서울지역 의원 후보는 1인당 평균 1만7448명의 팔로어를 뒀으며 팔로잉 네티즌은 1만1952명인 것으로 나타났다. 장 교수는 “트위터 캠페인을 시도한 후보가 당선 확률이 더 높게 나타났다”며 “트위터 계정 보유 기간(활동 기간)이 길수록, 트윗과 리트윗 및 팔로어가 많을수록 득표율이 높았다”고 밝혔다.
박성준 기자 alex@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