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스텝업4:레볼루션’ 슬럼가서 자란 젊은이들의 거리 춤판

입력 : 2012-08-09 22:07:07 수정 : 2012-08-09 22:07:07

인쇄 메일 url 공유 - +

“나 같은 녀석들은 이 도시에서는 없는 존재나 마찬가지야. 그래서 (춤으로) 외치는 거야. 잘 들어라. 우리 여기 있다고.”

빔 벤더스 감독이 3D 기술을 이용해 만든 영화 ‘피나’는 안무가 피나 바우슈의 작품 세계를 생생하게 재현했다.
댄스영화 ‘스텝업4: 레볼루션’은 ‘피나’와 달리 거리의 춤을 담았다. 엘리트 교육을 받은 무용수가 아닌 미국 마이애미 슬럼가에서 자란 젊은이들이 춤판을 벌인다. ‘스텝업’의 네 번째 편인 이 영화는 제목 그대로 시리즈물의 진화를 보여준다. 댄스 장면은 더 세련되고 고급스러워졌다. 춤 대결 중심이던 이전 편에서 나아가 춤을 통한 문화운동과 사회 변화까지 그렸다.

영화 주인공 션은 슬럼가 출신 웨이터로 ‘더 몹’을 이끄는 춤꾼이다. ‘더 몹’은 젊은이들로 이뤄진 플래시몹 단체. 이들은 도시 곳곳에 갑자기 나타나 한바탕 춤을 춘 뒤 홀연히 사라진다. 자신들의 활약을 유튜브에 올려 상금 10만달러를 얻는 것이 목표다. “더 몹이 말하면 모두 귀를 기울여”라는 션의 말대로 이들의 춤은 고층빌딩과 휴양지에 가려진 미미한 젊은이들이 세상을 향해 외치는 목소리이다. 

15일 개봉하는 영화 ‘스텝업4: 레볼루션’은 이전 편보다 더 세련된 퍼포먼스를 보여주며 춤을 통한 문화운동까지 담았다.
마이애미 슬럼가를 대형 상업지구로 개발하는 계획이 발표되면서 상황이 급변한다. 재개발로 수십년 삶의 터전에서 쫓겨날 판인 이웃들을 위해 ‘더 몹’은 예술적인 시위를 벌이기 시작한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와 결합한 춤꾼들의 저항은 월가 점령 시위대를 연상시킨다. ‘스텝업4’는 이런 면에서 전편들과 차별화를 꾀했다. 

이번 편에서 션과 로맨스를 벌이는 여주인공으로는 거대 호텔 상속녀이자 무용가 지망생인 에밀리가 등장한다. 에밀리가 재개발 회사 소유주의 딸이라는 정체가 밝혀지면서 사건은 꼬이기 시작한다.

‘스텝업4’는 댄스영화인 만큼 볼거리가 화려하다. 춤 장면은 이전 편보다 더 세련돼졌다. ‘더 몹’에는 댄서뿐 아니라 컴퓨터 천재, 그래피티 예술가, 익스트림 스포츠 파쿠르에 특화된 인물 등 다양한 재주꾼이 참여한다. 이들은 거리 춤과 순수예술의 경계를 무너뜨린다. 마이애미 예술문화박물관에 난입해 그림과 똑같이 페인팅하곤 카멜레온처럼 퍼포먼스를 벌인다. 또 설치 미술품 사이에서 야광 발레복을 입은 발레리나로 분해 군무를 선보인다.

1편에서 엘리트 예술학교로 편입했던 슬럼가 주인공은 4편에 이르면 자신의 변두리 정체성에 자부심을 갖는 청년들로 바뀐다. 이들은 “마이애미는 문화이고 ‘더 몹’은 마이애미 자체”라며 자본에 맞선 지역문화운동의 싹을 틔운다.

후반부의 동화 같고 낙관적인 결말은 다소 아쉽다. 영화 내내 가득 찼던 춤의 에너지와 파괴력은 마지막에 이르러 일시에 통속극 속으로 빨려들어가는 느낌이다. 상업영화로서 그간 ‘스텝업’ 시리즈의 공식을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일이긴 하다.

송은아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