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살인폭염 ‘재난’ 상황… 취약층 노인들 속수무책

입력 : 2012-08-01 22:55:20 수정 : 2012-08-01 22:55:20

인쇄 메일 url 공유 - +

취약계층 대책마련 여론 최근 3년간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크게 늘면서 폭염은 단순히 ‘이상 기후’를 넘어 일종의 ‘재난’이 되고 있다. 특히 폭염으로 인한 사상자의 상당수가 60세 이상 노인들이어서 더위 취약계층에 대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살인적 실내온도 불볕 더위로 전국이 용광로처럼 달아오른 1일 환경운동연합이 폭염건강 피해 예방 캠페인의 일환으로 서울 종로구 옥인동 일대 한 주택을 방문해 실내 온도를 체크하자 온도계가 36.5도를 가리키고 있다.
연합뉴스
1일 서울 지역에 최초로 폭염경보가 내려지는 등 최근 들어 40도를 넘나드는 살인적인 폭염이 계속되면서 사망자가 속출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집계 결과 지난달 25일부터 6일 동안 전국에서 3명이 사망하는 등 올 들어 폭염으로 인한 사망자수가 이미 7명에 달한다. 지난 2년간(2010∼2011년) 7월에 발생한 폭염 사망자수를 합쳐도 5명에 그쳤던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사망자수가 예년 수준을 훨씬 웃돌 것으로 전망된다

폭염으로 119 구급대의 처치를 받은 환자수도 2009년 126명, 2010년 256명, 2011년 498명으로 지난 3년간 4배가량 가파르게 증가했다. 올해도 지난달 셋째 주까지 이미 274명의 폭염환자가 119 구급대의 도움을 받았다. 통상적으로 7월보다 8월에 무더위가 심해지고 폭염일수가 늘어난다는 점을 감안하면 올해는 지난해보다 더 많은 폭염환자가 발생할 것으로 당국은 보고 있다.

문제는 폭염으로 인한 인명피해가 고령층에 집중돼 있다는 점이다. 올 들어 폭염으로 사망한 6명 가운데 5명은 60세 이상이었다. 폭염으로 119 구급대의 처치를 받은 60세 이상 환자수도 2009년 47명, 2010년 96명, 2011년 245명으로 3년간 5배 이상 늘었다. 60세 이상 폭염환자수는 지난해 전체 폭염환자의 49.2%를 차지해 2009년 37.3%에 비해 11.9.%포인트나 증가했다.

이에 따라 지방자치단체들은 노인밀집지역, 야외 노동현장 등 폭염 취약지역에 대한 피해 예방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서울시는 폭염에 취약한 시민을 보호하기 위해 재난안전대책본부를 운영 중이다. 본부에 소속된 재난도우미 8300명과 의료진들은 직접 홀몸 노인의 집 등을 방문하거나 전화를 걸어 건강상태를 확인하고 있다. 또 주민센터, 복지회관, 경로당 3733곳에 ‘무더위쉼터’를 운영하고 있으며 열대야 발생 시에는 야간에도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경기도는 최근 폭염대책 태스크포스(TF)와 폭염 특수구급대를 발족해 65세 이상 노인, 어린이, 건설근로자 등 폭염취약계층의 인명피해를 최소화하는 대책을 내놓고 있다. 특히 폭염특보가 발효되면 오후 2∼5시를 무더위 휴식시간제로 정하고, 농사일이나 체육활동, 건설 노동 등을 자제하도록 할 방침이다.

부산시도 구·군과 함께 폭염대비 합동 대책반을 구성하고 폭염정보 문자서비스 제공, 취약계층 방문관리 등을 실시하고 있다.

이태영 기자, 전국종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