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서울 남산예술센터에서 개막한 연극 ‘전명출 평전(評傳)’에는 한국 현대사의 굵직굵직한 사건들이 등장한다. 그 사건들은 낱개로 분절돼 있지만, 극은 1970년대부터 현재까지 소시민 전명출의 삶의 궤적을 통해 일관된 흐름으로 끌어간다.
![]() |
1970년대에서 현재까지 소시민 전명출의 삶을 통해 한국 사회를 비판하는 연극 ‘전명출 평전’. |

삼청교육대를 마친 후 명출을 향해 소장은 “정의가 뭔지 알겠냐”고 하자 명출은 “사람은 시대에 순응하며 살아야 한다는 걸 배웠습니다”고 답한다. 그리고 둘은 부실공사를 합작하면서 나름대로 상정한 ‘정의로운 삶’을 산다. 소장은 시골을 떠나 서울 무대로 진출했고, 그가 주도한 부실공사 결과가 바로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참사다. 순진하던 명출도 시대에 순응한다. 아파트 부실공사로 재물을 모으며 일명 성공도 출세도 한다. 그러다 문제가 돼 잡힐 만하면 야반도주를 일삼기도 한다.
명출은 이윽고 친구와 가족 가리지 않고 사기를 치는 짐승 같은 인간으로 변한다. 극의 메시지는 명출의 아내를 통해 드러난다.
“순박했던 본래 모습으로 돌아오라고.”
‘이날 이때 이즈음에’ ‘한중록’ 등 사극에 매달려 온 백하룡 작가의 첫 현대극이다. ‘경숙이 경숙아버지’ ‘청춘예찬’ 등 소시민 이야기를 주로 전해온 박근형이 연출을 맡았다. 출연 정승길 김선영 김세동 이규회 등. 1만5000∼2만5000원. 29일까지. (02)758-2150
신동주 기자 ranger@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