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버 윤리교육이 해법” “난 잘못한 거 없어요. 걔가 더 나빠요.”, “죄가 되는 줄 몰랐어요.”(왕따카페 개설 초등학생들)
왕따카페를 만든 학생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다. 경찰에서 걸려온 전화를 받고 일부 아이들은 울음을 터뜨리기도 했다.
15일 전문가들은 “여리고 미숙한 저연령층들은 왕따카페 등 사이버불링이 범죄란 사실을 전혀 인식하지 못하고 있었다”면서 “사이버 윤리교육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았다. 이는 통계로도 나타나고 있다. 청소년폭력예방재단이 지난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청소년 10명 중 3명은 ‘사이버불링’을 아예 일상적인 학교 문화로 인식하고 있을 정도였다. 광주지방경찰청이 올 초 왕따카페 110곳을 대상으로 벌인 조사에서도 초등학생이 개설한 곳이 절반(50%)을 차지했고, 그 다음으로 중학생(41%), 고교생(9%) 순이었다. 왕따카페 가입자 수로 따져도 초등생 773명, 중학생 498명, 고등학생 49명 등으로 연령이 낮아질수록 더욱 심각했다.

전문가들은 “제도와 교육 측면에서 사이버 공간을 정비해 사이버불링을 막아야 한다”고 지적했다. 경인교대 윤리교육학과 임상수 교수는 “초등생들은 사이버 공간 너머에 있는 사람을 상상하고 그에 대해 공감하는 능력이 떨어진다”면서 “제도적으로는 청소년들이 음란·폭력물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필터링을 강화하고 학교에서는 대인관계 기술에 대해 훈련을 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도덕성이 본격적으로 발달하기 전인 14세 미만의 아동들은 스스로 사이버불링을 자제하지 못하는 만큼 교육과 제도를 통해 모자란 곳을 메우자는 뜻이다. 동국대 임상묵 교수는“폐쇄적으로 운용되는 또래들의 네트워크에 어른들이 참여하고 조언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줘야 한다”고 말했다.
박현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