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질소득 감소·집값·연료비 영향

27일 현대경제연구원이 내놓은 ‘주거비 부담이 급증하고 있다’는 제목의 보고서에 따르면 가계 총지출에서 주거비가 차지하는 비율인 슈바베계수는 2007년(9.71%) 이후 계속 상승해 지난해 10.15%를 기록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한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슈바베계수에는 주거임대료, 수도·광열비 등 주거에 직접 관련된 소비가 포함된다.
소득 최하위인 1분위 소득계층의 주거비 부담률(16.45%)도 2003년 이후 최고치다. 1분위와 5분위의 소득격차는 2003년 6.13%에서 지난해에서 8.5%로 확대됐다.
연구원은 주거비 부담 상승 요인으로 실질소득과 가계구매력 정체를 꼽았다. 2006∼2008년 실질소득은 이전 3년 대비 6.4% 늘었지만 2009∼2011년에는 2.6% 증가에 그쳤다. 실질가처분소득 증가율도 2006∼2008년에는 5.7% 늘었지만 2009∼2011년에는 1.5% 증가했다.
최현태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