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설왕설래] 아버지와 아들

관련이슈 설왕설래

입력 : 2012-02-02 21:48:26 수정 : 2012-02-02 21:48:2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우라노스는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하늘의 신이다. 그는 흉물스럽다는 이유로 아들들을 지하 암흑계인 타르타로스에 가둔다. 하지만 우라노스는 반란을 일으킨 아들 크로노스에게 쫓겨난다. 그는 크로노스도 아들에게 자리를 뺏길 것이라는 저주를 남긴다. 예언이 두려운 크로노스는 자식이 태어나는 대로 잡아먹는다. 어머니의 도움으로 간신히 살아남은 아들 제우스에게 축출된다. 제우스는 아버지이자 억압자인 크로노스를 꺾고서야 올림포스산의 지배자가 될 수 있었다.

제우스 부자 3대의 얘기는 아버지와 아들의 원초적 불화를 상징한다. 자신에게 생명을 주었지만 죽일 수도 있다는 점에서 아버지의 의미는 이중적이다. 아버지는 아들에게 극복해야 할 대상인 것이다. 프로이트는 아버지에 대한 아들의 이러한 적의를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로 이름지었다.

부자의 대결과 갈등은 문학의 가장 흔한 모티브 가운데 하나였다. 많은 작가들에 의해 하나의 장르를 형성했을 정도다. 영화도 예외가 아니다. 조지 루카스 감독의 SF영화 ‘스타워즈’도 적으로 맞서는 부자의 얘기를 그렸다. 악의 화신으로 은하계를 장악한 다스 베이더(아나킨)가 반역 세력의 중심인 아들 루크와 대결한다는 내용이다.

현실에서도 부자 간 대립의 역사는 유구하다. 특히 권력이 개입될 때 결과는 끔찍했다. 아버지와 아들이 서로를 죽이는 사례가 적지 않았다. 조선조 영조는 아들인 사도세자를 뒤주에 가둬 죽였고, 이방원은 아버지 이성계를 몰아내고 권좌에 올랐다. 부자 사이에도 나눠가질 수 없는 게 권력인 것이다.

이시하라 신타로 일본 도쿄도지사가 아들인 이시하라 노부테루 자민당 간사장과 불편한 관계라고 한다. 이시하라 지사를 비롯한 일본의 보수 세력이 극우 신당 창당을 추진하면서 자민당 의원을 빼갈 것이라는 소문 탓이다. 자민당이 재집권하면 총리 후보 1순위인 이시하라 간사장은 “남의 지갑에서 돈을 훔쳐가는 것과 다를 바 없다”고 불만을 표시했다. 총리 자리를 향한 부자의 꿈이 충돌하는 것이다. 두 사람의 갈등이 어떻게 결말이 날지 궁금하다.

원재연 논설위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하츠투하츠 스텔라 ‘청순 대명사’
  • 윤아 '청순 미모'
  • 최예나 '눈부신 미모'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