겉으로는 한나라당이 `차떼기당'의 본색을 드러냈다고 비판하지만 내부적으로는 민주통합당도 무풍지대가 아닐 수 있다는 우려 속에 행여라도 불똥이 튀지 않을지 걱정하는 분위기도 느껴진다.
이는 전당대회가 `돈먹는 하마'라는 말이 나올 정도로 돈을 쓰고자 하면 무한정 들어갈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점에 기인한다는 시각이다.
전당대회가 1만~2만명의 대의원을 상대로 한 전형적인 조직선거전이기 때문에 대의원의 표심을 얻고 지역위원장을 포섭하는 것이 중요하고, 이 과정에 불가피하게 돈을 쓸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전대 출마를 경험했던 인사들은 대체로 `돈봉투가 건네지고 있다', `어느 캠프에서 돈을 뿌리고 있다'는 식의 소문을 듣긴 했지만 증거를 확실히 잡거나 진위를 파악한 정도는 아니었다고 말하고 있다.
2010년 10ㆍ3 전대 때는 특정캠프에서 대의원들에게 선물을 돌렸다는 논란이 발생했다.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해 현재 진행중인 1ㆍ15 전당대회 과정에서도 예비경선 때 중앙위원을 상대로 돈이 돌았다거나, 본경선 선거인단 모집 과정에서 조직 담당자들에게 성과급처럼 자금이 뿌려지고 있다는 주장도 나온다.
원내대표를 뽑기 위한 한 경선의 경우 일부 후보가 경선 전후로 의원들에게 100만~200만원을 돌렸다는 얘기가 있었다.
열린우리당 전당대회에 출마경험이 있는 유시민 통합진보당 공동대표는 6일 기자간담회에서 "(정당 내에서) 금품 살포를 목격한 바도, 경험한 바도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전대 출마자들의 경험을 들어보면 돈이 필요한 사유는 많다. 우선 사무실 운영비, 홍비비 등이 만만치 않고, 대의원이나 지역위원장을 만나는 과정에서 들어가는 식비, 조직 등 각종 특보의 활동비를 지원하기 위한 경비 부담도 적지 않다.
2008년 전대에 출마한 한 의원은 "전국을 돌며 대의원을 만나다 보면 밥값만 해도 매우 부담스런 수준이었다"고 말했고, 또 다른 관계자는 "특보들이 달라붙어서 돈을 달라고 하는데 못 줘서 큰 어려움을 겪었다"고 털어놨다.
출마경험자들은 이 수준까지는 누구나 겪는 일이라고 인정하지만 한나라당처럼 실제로 지역위원장을 상대로 돈봉투가 오가는지는 확언을 못하는 분위기다. 소문만 있었지, 직접 확인을 못했다는 것이다.
민주통합당은 1ㆍ15 전당대회부터 일반 국민이 선거인단으로 참여하는 국민참여경선을 실시해 돈선거가 개입할 소지가 크게 줄었다고 평가했다.
당 관계자는 "선거인단이 수십만명을 넘어서면 조직을 활용한 선거전이 의미를 잃을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전대 경선관리를 아예 선관위에 위탁하자는 제안도 나온다.
한 재선 의원은 "현재는 투개표 관리만 선관위에 위탁하는데 선거운동 전체를 맡기는 게 부정선거를 감시하는데 좋은 방법"이라며 "당내 경선이라는 이유로 선거비용이나 방식 등에 대한 규정이 너무 허술한 것도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