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업체 이어 부산 유력 후보지 검토
양국 이르면 연내 구체안 협의할듯… ‘비축법’ 개정안 2012년 1월 국회 제출

일본의 민간 석유판매 업체가 겨울 난방용 등유를 한국에 비축하기 시작한 데 이어 일본 정부도 비상시 석유비축기지 후보지로 부산을 유력하게 검토하고 있다.
일본 내에서는 대지진 이후 ‘유사시 한국과 전력공급 협정을 맺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향후 한·일 간 에너지 협력이 가속화할 가능성도 있어 보인다.
3일 아사히신문은 일본 경제산업성이 지난달 한국의 지식경제부에 비공식적으로 석유 비축기지 제공을 요청해 동의를 얻었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라 두 나라는 이르면 올해 안에 구체적인 협력 방안을 협의할 것으로 전해진다.
경제산업성은 지난 3·11 대지진 때 도호쿠(東北) 지역의 도로망이 끊겨 에너지 공급이 중단된 것을 거울 삼아 대재해 시 재해 지역에 원활하게 에너지를 공급하기 위한 새로운 대책을 짜고 있다. 이 과정에서 에너지 저장시설이 부족한 일본의 동해 인접 지역에서 재해가 일어날 경우에 대비, 한국의 남부 해안 지역에 석유를 비축하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경제산업성은 유력한 후보지로 부산을 꼽고 있다.
일본은 현재 172일분의 원유를 비축하고 있지만 자동차 가솔린과 난방용 등유의 비축분은 44일분뿐이다. 이 때문에 한국에 원유보다는 석유 제품의 비축을 원하고 있다.
한국에 ‘러브콜’을 보내는 것은 일본 정부뿐 아니다. 민간기업도 앞다퉈 한국에 비축기지를 가동 중이다.
경남 거제 석유비축기지 전경. 일본 정부는 최근 동일본 대지진 이후 비상시를 대비해 한국 남부 해안에 석유를 비축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거제 석유비축기지에는 국내 소비 23일분 4745만배럴을 저장할 수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경쟁사인 ‘이데미쓰코산(出光興産)’도 뒤질세라 한국에 저장탱크 수기를 확보해 비축을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가 한국에서 빌린 탱크 용량은 총 6만㎘로, 겨울철 등유 수요의 약 36일분에 해당한다.
일본 정부는 3일 대재해 발생 시 재해지에서 가솔린과 등유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석유비축법 개정안’을 내년 1월 열리는 통상국회(정기국회)에 제출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도쿄=김동진 특파원 bluewins@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