겨울방학을 이용해 지금까지 배운 과목에 대한 개념 정리를 해두자. 학기가 시작되면 모의고사, 내신 준비, 수시 지원 등으로 시간이 많지 않다. 조금 시간이 걸리더라도 개념을 완벽히 정리해 놓으면 짜임새 있는 학습이 가능해지고 안정적으로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 목표를 정하고 계획을 세우자
겨울방학 동안 자신의 현재 위치와 성적 향상 가능성을 감안해 목표 대학을 결정하고 그에 맞는 학습계획과 입시전략을 세우는 게 좋다. 수시 지원에 무게중심을 두고 있다면 겨울방학 동안 가고 싶은 대학과 학과에 대한 정보를 파악해 부족한 부분을 보완할 계획을 세우자. 미리 자기소개서를 써보는 것도 본인의 강점과 약점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된다.
◆ 취약과목을 집중 공략하라
겨울방학은 언어, 수리, 외국어 등 주요 영역 가운데 자신이 가장 취약한 과목을 집중적으로 학습하는 시간으로 활용해야 한다. 이 시기에 취약 과목을 공략하지 못하면 앞으로의 수험생활 내내 그 과목에 대한 부담감으로 다른 과목 학습도 지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방학이 끝나고 나면 취약과목을 전략과목으로 만들겠다는 생각으로 취약 과목에 다른 과목보다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할애하자.
◆ 수능 문제 유형과 친해지자
지금까지 학교 내신 시험에 길들여졌다면 이제부터는 수능문제 유형에 익숙해져야 한다. 수능은 문제의 유형과 용어, 지문의 활용 등이 학교 시험과는 다르기 때문이다. 하지만 수능은 기존의 유형에서 벗어나지 않고 출제되므로 기출문제를 철저히 분석하면 도움이 된다. 방학 동안 수능문제에 적응한다면 내년 3월에 치르는 첫 모의고사에서도 좋은 성적을 낼 수 있다.
◆ 구체적인 학습계획을 세워라
겨울방학부터 내년 수능까지 1년 남짓한 기간에 실천할 학습전략을 구체적으로 세우자. 시기별로 겨울방학, 1학기, 여름방학, 2학기로 나눠 시기별 학습전략을 세우자. 특히 학기 중에는 내신 대비와 병행한 전략을, 방학에는 수능에 집중하는 전략을 세우는 게 좋다. 지금부터 남은 기간을 제대로 활용할 수 있는 계획을 세우면 1년 뒤 웃을 수 있음을 명심하자.
이태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