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권원순 한국외대 경제학부 교수는 27일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남북에너지 및 교통인프라 협력방안’을 주제로 열린 북한경제포럼 세미나에 발표자로 나서 “북한이 가스관을 차단할 개연성을 구조적으로 막으려면 파이프라인을 북측 동해지역∼남측 동해지역∼수도권∼의정부∼개성·평양으로 이어지는 J자형으로 구축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J자형 노선은 평양을 거쳐 서울∼개성 등으로 이어지는 Y자형 노선보다 이상적이고, 북한이 가스공급을 차단하면 곧 북한에 가스공급도 중단된다는 것이 권 교수의 설명이다.
북측의 가스관 폭파나 가스 절도 등에 대해서는 PNG의 여러 특성을 고려할 때 현실성이 없는 우려라고 일축했다.
그는 배관 설치 비용은 총 22억3560만 달러, PNG 북한 통과 비용은 연 1억1840만 달러로 추산하고, 남한이 25년간 러시아 가스 750만t을 수입한다는 가정 아래 PNG 가격은 1MMBtu(47.667MMBtu=0.73t)당 0.31달러로 배로 운반하는 LNG(9.4달러)보다 훨씬 쌀 것으로 추정했다.
권 교수는 “PNG 비용은 건설비, 수송원가, 도입비용이 신중하게 고려돼야 한다”며 “특히 단가문제는 중요한 변수이고 LNG 방식을 선호해온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총리가 내년에 새 대통령이 되면 어떤 상황이 발생할지 모른다”고 말했다.
김보은 기자 spice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