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식용·약용·독버섯 구분 한눈에 쏙 들어오는 ‘한국의 버섯’

입력 : 2011-06-23 13:16:51 수정 : 2011-06-23 13:16:51

인쇄 메일 url 공유 - +

640종 버섯의 모든 것 망라한 버섯 백과사전
새로운 한국의 버섯-한국에 자생하는 버섯 640종/박완희·이지헌 지음/교학사/6만원


 숲 속의 쇠고기로 불리는 버섯은 자연계 물질 순환에서 유기물의 분해자로서 생태계 조화와 유지에 큰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식용과 약용으로 우리 생활에 많은 혜택을 주는 귀중한 생물 자원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최근 환경 오염, 생태계의 파괴, 삼림의 훼손, 무분별한 채집 등의 원인으로 자생 버섯의 발생이 크게 감소하고 있다.

 한국의 자연도감 시리즈 중의 하나인 ‘새로운 한국의 버섯-한국에 자생하는 버섯 640종’은 버섯만을 연구하며 버섯에 대한 정보를 심도 있게 알리는 데 평생을 바친 박완희 서울과학기술대학교 환경공학과 명예교수가 버섯에 관심이 있는 모든 사람에게 유용한 정보가 될 뿐만 아니라 버섯의 보전에도 한몫할 수 있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출간하게 되었다.

 저자가 ‘한국의 버섯’(교학사) 초판이 간행된 지 20년이 지난 시점에서 새로이 발표된 240여 종을 추가하여 버섯의 형태 및 생태 사진과 자료를 다시 정리한 것으로, 한국에 자생하는 버섯 총 640종의 상세 해설과 그에 따른 원색 생태 사진 1100여 장을 수록했다.

 책은 640종의 버섯 각각에 대한 형태, 생태, 발생 시기, 식용·독성 여부 및 이용, 약용 효과와 적응증을 상세히 해설하고 성숙한 버섯, 어린 버섯, 주름살, 관공 등을 담은 다양한 사진을 수록했다. 특히 지금까지 사용하여 오던 형태적 분류 체계 대신에 세계적인 추세가 되고 있는 계통적 분류 체계를 따르고 있다.

 책은 특히 식용 버섯·독버섯·약용 버섯을 기호로 구분하여 버섯의 성질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였으며, 독버섯은 독성을 3단계로 나누어 주요 중독 증상과 함께 구체적으로 해설했다.

 부록에는 버섯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되도록 버섯에 대한 그림과 용어를 해설하고, 주요 독버섯 일람, 학명·한국명 찾아보기를 수록하였으며, 약용 버섯 참고 문헌을 따로 안내하여 각 약용 효과에 대한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도록 하였다. (02)312-6691, 6685

조정진 기자 jjj@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
  • 미야오 나린 '상큼 발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