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초중고 수학은 ‘쉽게’ 영어는 ‘실용적’으로

입력 : 2011-05-20 00:05:29 수정 : 2011-05-20 00:05:29

인쇄 메일 url 공유 - +

교과부 ‘공교육 강화정책’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 초·중·고 수학 교과서와 교육과정이 쉽고 재미있게 바뀌며 영어는 실용영어 중심의 수업이 확대된다. 방과후 학교에 민간 참여를 확대하는 한편 이로 인한 비리를 막기 위해 견제장치가 마련된다.

교육과학기술부는 1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공교육 강화-사교육 경감 선순환 방안’을 확정해 발표했다. 지난 2월 발표한 시안에 대해 3개월간 5개 권역별 토론회를 통해 의견 수렴을 거쳐 수정, 보완한 것이다.

이 방안에 따르면 초·중·고 수학 교육에 공식과 문제 풀이 위주가 아닌, 배경과 맥락, 사례 중심으로 풀어쓴 ‘스토리텔링’형 교과서가 도입된다. 수학에 과학·기술·예술을 접목시키고 학습량도 20%가량 감축해 창의·심화 수업을 위한 여유시간을 확보한다. 하지만 시안에 포함됐던 고교 수학시험에서 전자계산기를 허용하는 방침은 유보됐다.

영어 교육은 실용영어 중심의 정규 교육과정 구성과 방과후 학교의 내실화로 사교육에 의존하지 않고도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하기로 했다. 초등학교 영어 수업시수를 3·4학년은 주 2시간, 5·6학년은 주 3시간으로 각각 1시간씩 늘린다. 중·고교에서는 수준별 영어수업, 주1회 회화수업 등 실용영어 중심의 영어 수업이 확대된다. EBSe를 활용한 방과후 영어교육이 활성화되고 학교급별 특성에 맞는 단계별·수준별 교재가 개발돼 2학기부터는 모든 학교에 보급된다.

교과부는 또 방과후 학교의 질적 수준을 높이기 위해 민간 업체 등의 참여를 확대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안으로 전국의 모든 학교가 자율적으로 민간 업체 등의 프로그램을 방과후 학교에 도입할 수 있도록 시·도 교육청과 관련 규제 폐지를 협의하기로 했다.

교·사대 졸업생, 퇴직교원, 산업체 경력자, 전문직 종사자, 경력단절 여성, 결혼 이주자 등 지역사회의 인적자원이나 저명인사가 강사로 활동할 수 있도록 관련 인적 자원도 적극 발굴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대학, 지자체, 교육청, 산업체 등이 참여하는 방과후 학교 사교육 기업을 2013년까지 50개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다만 최근 검찰 수사에서 위탁업체들이 학교를 상대로 로비하는 정황이 드러나고, 서울시교육청에서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관련 비리가 적발됨에 따라 민간업체를 검증할 장치를 마련하기로 했다.

학교운영위원회 산하에 방과후 학교 소위원회를 설치해 프로그램 수요 조사, 개설·관리, 위탁기관 적정성 등을 검토하도록 권장하고 외부강사 자격 기준도 엄격히 정하기로 했다.

하지만 학운위가 교직원, 학부모 등 비전문가로 구성되고 방과후 학교 위탁업체 선정·운영과 관련해 실질적인 심의 및 감독이 이뤄지지 않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소위원회 구성만으로 비리가 원천 차단될 수 있을지 의문이다.

이태영 기자 wooaha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강한나 '깜찍한 볼하트'
  • 지수 '시크한 매력'
  • 에스파 닝닝 '완벽한 비율'
  • 블링원 클로이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