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문제의식(問題意識)과 고용

관련이슈 직업 평론

입력 : 2011-04-15 13:28:25 수정 : 2011-04-15 13:28:25

인쇄 메일 url 공유 - +

문제의식을 발견하고 다양하게 가질수록 좋은 것이 청년기의 생활이다. 문제의식이 부족한 사람은 무엇인가 가치 있는  일을 하기 어려운 사람이기에  그렇다. 문제의식이 취약한 청년에게 무엇인가를 가치 있는 직업을 권한다는 것은 쉬운 일은 아니다.

문제의식을 갖고 무엇인가 모순 구조를 혁파(革罷) 하려는 의지가 강한 청소년기를 보낼수록 좋은 인재로 성장하는데는 좋다. 물론 인간인 이상 항상 문제의식을 가질수야 없다. 그렇지만 청년기 문제의식은 다양하고 깊을수록 좋은 것이다.  문제의식이 부족한 것을 탓해야지 문제의식이 강한 것은 걱정할 필요는 없다.

마틴 루터 킹 목사는 현대사회에서 당시미국에 만연하던 인종간 폭력 문제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가졌다. 다시 그는 세상에 너무 폭력이 많다는 문제의식을 그는 가진다. 그래서 비폭력 투쟁을 선언한다. 

당시 미국 사회에서 흑인과 백인 사이에 차별이 너무 강하고 많다는 문제의식을 가진 그는 갖게 된다. 하여 폭력 투쟁의 방식으로 이 문제를 풀기보다는 비폭력적인 방식으로 이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그는 선언한다.

마틴 루터킹 목사가 주창한 비폭력(非暴力) 투쟁은 그후 높은 평가를 받게 된다. 다양한 문제의식을 가진 이들은 최근  기업에서 채용하는 것을 좋아한다. 한국 아이비엠, 삼성 전자, 뱅크오브 아메리카(BOA ) 같은 은행에서는 문제의식을 다양하게 지닌 인재를 채용하는 비중이 올라가는 중이다. 채용하는 순간에 항상 그 인재의 문제의식의 폭과 깊이를 본다고 한다.

인터뷰 과정에서 그들 지원자들이 지닌 문제의식은 어느 정도인가를 보는 것입니다. 마리아 테레사 여사는 어려운 여건에서 사는 이들의 벗이 되는 것이 자기가 할 일이라고 정의한다. 그가 이들을 위해서 봉사하고 헌신한 배경에는 마리아 테레사만의 문제의식이 존재했기에 가능했다.

마리아 테레사는 자기를 낮춤으로서 타인을 높이는 것이 자기의 직업에서의 사명이라고 그는 인지한 것이다. 문제의식을 가진 인재를 회사에서는 키워가야 합니다. 문제의식 없이 일한다는 것은 창조적인 일을 하는 과정에는 안 어울리는 일이 될 것이다. 문제의식을 강하게 가진 인재가 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해 주시기 바란다. 구직자를 평가하는 구인자들도 이런 문제의식을 현대사회에서 충분히 인식한 구직자를 앞으로는 더욱 선호하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직업 세계에서 문제의식의 가치는 크다. 문제의식 없이 청소년기를 보낸 친구들이 많은 나라는 한국이다. 한국인들은 책을 읽고 묵상을 해야 하는 시기에 지나친 대입 입시의 경쟁터널을 지나와야 하기 때문이다. 아울러 다른 미디어, 게임의 늪에 들어가는 친구들이 증가 중이기 때문이다.
 
강한 문제의식은 필요하지만 적절히 이를 컨트롤 하면서 문제의식을 발휘해야 한다 문제의식을 일속에서 키우는 것이 자기의 직업 역량을 향상 시키는데 도움이될 것이기 때문이다.

김준성 연세대 직업 평론가 nnguk@yonsei.ac.kr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있지 유나 ‘황금 골반 뽐내’
  • 채수빈 '완벽한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