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록이 깊어가는 날, 선배의 초대를 받았다. 학창 시절의 그는 샌님 소리를 들을 만큼 도시적인 취향이었다. 그런데 몇 년 전부터 캠핑에 꽂힌 후 주말이면 아예 캠핑장을 끼고 살고 있다. 그는 특히, ‘장비의 달인’이라 불릴 만큼 캠핑장비에 대한 식견이 풍부했다.

북미 최고봉 매킨리가 바라보이는 디날리 국립공원의 캠핑장에 머물 때다. 캠핑장을 산책하다 우연히 캠핑카를 발견했다. 나는 의아했다. 이 국립공원은 공원 보호를 위해 일반차량은 출입을 금지하고 있다. 국립공원 내에서는 오직 국립공원에서 운영하는 셔틀버스만 다니도록 돼 있다. 그런데 버젓이 캠핑카가 자리한 것이다.

그 말을 듣고 나서야 관리자도 없는 캠핑장이 언제나 깨끗했던 이유를 알았다. 그리고 또 캠핑카 앞에 세운 커다란 문패의 의미를 알게 됐다. 캠핑카 앞에 세운 문패에는 ‘해리와 필리스의 집’이라 적혀 있었다. 그들에게 캠핑카는 여름 한 철을 나는 집이었던 것이다.

선배의 텐트에 걸린 문패를 보고나자 문패를 만들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캠핑에서 돌아온 후 당장 문패 만들기에 들어갔다. 옹이의 흔적이 선명한 나무를 구했다. 적당한 굵기로 자른 후 표면이 반들반들하게 사포질을 했다. 드릴로 구멍도 뚫어 끈을 걸 수 있게 했다.

문패에 새길 글씨는 못을 달궈서 쓰기로 했다. 스토브에 벌겋게 달군 못을 리플로 움켜쥐고 정성껏 글씨를 새겼다. 글씨는 생각만큼 잘 새겨지지 않았다. 글씨가 삐뚤어지거나 획의 굵기도 달랐다. 그러나 나는 온 정성을 다해 글씨를 새겼다. 그것을 지켜보는 아들 녀석도 손에 땀을 쥐었다. 마지막 글자를 완성하고 나자 아들 녀석은 환호성을 질렀다. 나도 무슨 큰일을 한 것처럼 어깨가 으쓱했다. 이제 우리 텐트에도 이름이 생긴 것이다.


김산환 칼럼리스트 mountainfire@hanmail.net <보이는 자동차 미디어, 탑라이더( www.top-rider.com)>
※위 기사는 세계닷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탑라이더에 있습니다.
◆관련기사 ◆· [김산환의 캠핑폐인] 낡은 캠핑 장비를 꺼내며 [2011/03/01]
· [김산환의 캠핑폐인] 강물 곁에 눕다 [2011/03/08]
· [김산환의 캠핑폐인] 꿈꾸는 봄 [2011/03/15]
· [김산환의 캠핑폐인] 남자, 캠핑을 말하다 [2011/03/22]
· [김산환의 캠핑폐인] 새벽 5시, 다음 세상으로 가는 시간 [2011/03/28]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