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사설] BBK의혹 편지조작 사건 진상 밝혀야

관련이슈 사설

입력 : 2011-03-11 08:07:17 수정 : 2011-03-11 08:07:17

인쇄 메일 url 공유 - +

2007년 17대 대통령 선거 당시 이명박 후보의 도덕성 논란을 일으킨 BBK 의혹의 일단이 다시 불거졌다. 폭로한 김경준씨가 대선을 한 달 앞두고 입국했는데 한나라당은 대선 판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한 기획입국이라고 주장했다. 기획입국설을 뒷받침한 수감 동료의 편지도 공개됐다. 편지에는 “큰집과 어떤 약속을 했건 우리만 이용당하는 것”이라는 내용이 담겨 있다. 청와대와 여권이 뒤에 있다는 암시여서 파장이 컸다. 그러나 편지는 날조됐고 검찰은 알고도 덮었다고 한다. 최근 본지 특종 보도로 확연히 드러난 새 의혹이다.

BBK 사건은 법적인 측면에서 김경준 남매가 벌인 범죄로 일단락되는 상황이다. 김씨는 사기 혐의 등으로 8년 형 확정 판결을 받고 복역 중이다. 기소 중지된 누나 에리카 김은 최근 자진 귀국해 “당시의 주장은 거짓이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전해진다. 선거 당시 여당이던 민주당은 결과적으로 김경준 남매에게 놀아난 셈이다.

편지 조작 사건은 BBK 사건의 본질도, 큰 줄기도 아니다. 그렇다고 덮어도 되는 사건은 결코 아니다. 이명박 정부가 출범한 2008년 6월 검찰은 사건 관계자 전원을 무혐의 처리했다. 편지가 날조된 것을 파악하고도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새 증언이 나오면서 상황이 달라졌다. 편지의 원래 작성자로 알려진 신경화씨의 동생 신명씨가 “형이 보낸 것으로 알려진 편지는 내가 작성한 것”이라고 밝히고 나선 것이다. 더구나 신씨는 “MB(이명박 대통령) 가족이 사건을 진두지휘했다”고도 했다.

진위를 확인하지 않을 수 없다. 대통령 후보의 가족이 개입했는데도 검찰이 은폐했다면 중대한 직무유기다. 검찰이 살아 있는 권력의 눈치를 본 것인지 묻게 된다.

한나라당은 선거 승리를 위해 공작정치를 벌인 의혹을 산다. 선거 때만 되면 ‘아니면 말고’ 식의 허위폭로극이 난무하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어야 한다. 선거풍토 개선을 위해서라도 그냥 없는 일로 해선 안 된다. 뒤늦은 감이 있더라도 진상은 밝혀내야 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
  • 이성경 '심쿵'
  • 전지현 '매력적인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