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 주재 공관원들과 중국 여성의 불륜 파문(일명 ‘상하이 스캔들’)에 대해 9일 정치권에서 호통이 쏟아졌다. 여야가 따로 없었다.
여당은 회초리부터 내려칠 기세다. 외교부 라인 대수술 등 문책론을 폈다. 야당은 정부의 한·유럽연합(EU) 자유무역협정(FTA) 비준동의안 영문 오역 실수까지 싸잡아 ‘국정기강 붕괴’에 초점을 맞춘 융단폭격을 가했다.
![]() |
◇일명 ‘상하이 스캔들’을 조사하고 있는 국무총리실 공직복무관리관실의 류충렬(오른쪽에서 두번째) 관리관이 9일 서울 종로구 창성동 정부중앙청사 별관에서 김정기 전 상하이 총영사를 조사하기 위해 사무실로 걸어가고 있다. 연합뉴스 |
민주당도 ‘극에 달한’ 공직기강 해이에 집중포화를 퍼부었다. 손학규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국가기강이 전면적으로 붕괴하는 위기에 처해 있다는 느낌”이라고 개탄했다. 이번 스캔들은 “‘MB(이명박 대통령)식 조폭인사’의 결과”라는 주장도 나왔다. 천정배 최고위원은 “공직을 사유화해 경험도, 능력도 없는 사람(김정기 전 상하이 총영사)을 대한민국 얼굴인 해외공관의 수장으로 보낸 ‘MB 측근 비리’”라고 주장했다.
국회 외교통상통일위 전체회의에서도 질책이 넘쳐났다. 한나라당 의원은 “이런 일이 또 어떻게 벌어질지 모르겠다”(김영우), “단순 치정사건으로 볼 수 없고 스파이 사건 냄새가 난다”(윤상현)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민주당 박주선 의원 등은 “탈법과 월권으로 민간인 사찰을 주도한 국무총리실의 조사 결과를 신뢰하기 힘들다”며 검찰 수사 내지 감사원 감사를 요구했다.
김형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