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딩부츠는 신기 전 전용 방수스프레이 사용을 최근 폭설로 전국이 꽁꽁 얼어붙으면서 제설을 위해 도로뿐 아니라 인도에도 염화칼슘이 뿌려졌다. 미끄러져 다칠 걱정은 덜었지만 자동차를 부식시킬 정도로 강력한 염화칼슘은 겨울 신발의 수명을 위협한다. 특히 염화칼슘은 수분을 빨아들이는 성질이 있어 가죽 부츠 등에 묻은 채로 두면 부츠가 쪼그라들 위험이 있으므로 세심하게 관리해야 한다.
◆가죽 부츠
습기가 있는 상태로 신고 다니면 세균과 곰팡이가 번식할 뿐 아니라 모양도 변형될 수 있으므로 습기 제거에 신경 써야 한다.
우선 마른 수건으로 부츠 안팎의 물기와 염화칼슘 등 오염물을 꼼꼼히 닦아낸 뒤 통풍이 잘 되는 그늘에서 말린다. 이때 부츠 속에 신문지를 구겨 넣으면 습기를 빨아들여 더 빨리 건조할 수 있다. 하지만 신문지를 너무 많이 넣으면 부츠가 그 모양대로 변해버릴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헤어드라이어 등 전열기구를 사용하면 부츠 형태가 뒤틀릴 수 있으므로 절대 금물이다. 잘 말린 부츠는 색상에 맞는 구두약 또는 가죽 전용 크림을 칠해 관리한다.
◆스웨이드 구두
습기에 취약해 물기가 닿으면 표면이 딱딱해지기 쉽다. 눈이나 비에 젖으면 수건 등으로 눌러 물기를 빼야 하는데, 문질러 닦을 경우 오염 물질이 번지고 스웨이드 표면의 조직이 상하므로 주의한다.
젖은 신발 안에는 신문지를 뭉쳐 넣은 뒤 그늘에서 말린다. 신발이 다 마른 후에는 물티슈 등으로 구두 안쪽의 먼지와 염분을 제거하고 깨끗한 솔로 스웨이드 표면을 결 방향대로 살살 빗어 준다. 표면에 얼룩이 생겼다면 전용 클리너로 지우거나 지우개로 살살 문질러 준다. 습기를 방지하기 위해 표면에 방수 스프레이를 뿌려줘도 좋다.
![]() |
◇다양한 퍼 부츠들. |
물기가 있으면 마른 수건으로 깨끗이 닦아낸 후 그늘에서 충분히 건조하고, 신기 전 신발 전용 방수스프레이를 뿌려놓으면 좋다.
얼룩은 물걸레로 살살 닦아내면 되고 통째로 빨 수도 있다. 중성세제를 푼 30˚C 정도의 물에 담가 손빨래를 한 후, 타월로 눌러 물기를 없애고 그늘에서 말린다. 다 마른 후에는 골고루 두드려줘 내부의 충전재가 뭉치지 않도록 한다.
◆퍼 부츠
가죽부츠에 털 장식이 붙어 있는 형태인 퍼 부츠는 일반 가죽과 털 부분을 구분해서 손질해야 한다.
가죽 부분은 일반 가죽 부츠와 같은 방법으로 손질하고, 털 부분은 물기를 털고 마른 수건으로 닦은 후 그늘에서 말린다. 오염이 생긴 경우 천연 털은 알코올을 묻힌 천으로 닦아내고, 인조 털은 가볍게 먼지를 털어낸 다음 물에 적셔 닦아낸다. 꼭 짠 물수건으로 털을 잡듯이 위에서 아래로, 아래에서 위로 닦은 다음 마른 수건으로 손질해도 된다.
김수미 기자 leol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