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가 서울지역 교사 50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89.0%(452명)는 체벌금지에 ‘반대한다’고 대답했다. ‘찬성한다’는 응답은 9.8%(50명)에 그쳤다.
또 ‘체벌금지 시행, 학생인권조례 추진으로 학습권 침해, 교실 붕괴, 교권 추락 현상이 나타난다는 우려를 어떻게 보느냐’는 질문에 응답자의 89.0%가 ‘동의한다’고 밝혔다. ‘그렇지 않다’고 본 교사는 8.7%(44명)에 그쳤다. 2.7%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체벌금지 이후 학생들 생활 태도에 변화가 있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의 78.1%가 ‘지도에 잘 따르지 않거나 거부하는 경향이 심해졌다’고 답했다.
교사들은 체벌금지 조치가 교내에서 체벌을 없애는 데 효과를 발휘했다는 점에는 대체로 공감했다. 응답자의 60%가 이번 금지조치로 ‘체벌이 없어졌다’고 대답해 ‘없어지지 않았다’(14.8%)보다 훨씬 많았다. 체벌금지 조치 이후 수업방식 혹은 생활지도 방식에도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률도 71.9%에 달했다.
이경희 기자 sorimoa@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