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태희 노동부 장관(사진)은 지난달 28일 본지와 단독 인터뷰에서 “기업의 투자가 늘어나도 전문성 부족 등으로 해소할 수 없는 구직자들이 있다”며 “이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할 사회적 기업을 육성할 필요가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사회적 기업을 육성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기업들의 관심”이라며 “사회적 기업에 투자하는 것도 사회복지시설에 기부하는 것과 같이 인정해 각종 지원을 해주는 방안을 관련 부처와 적극 협의하겠다”고 말했다.
또 2018년까지의 인력수급을 전망하고 고용시장에서 나타나는 구인·구직 미스매치를 해소할 대책이 3월 중 발표된다. 노동부는 ▲과학기술 ▲산업인력 ▲보건의료 ▲문화 ▲환경 ▲금융 6개 부문의 인력수급 전망치를 수립하고 이에 따른 인력양성 방안, 사회 인력수요와 대학교육의 연계방안 등을 마련한다.
노동부 관계자는 “고용 시장 전체에서 발생하는 수요와 공급 사이의 격차가 있다”며 “기업들이 원하는 기술이 무엇인지를 구체적으로 파악해 교육을 통해 해소하는 방안 등을 마련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임 장관은 이와 관련, ‘기업 수요에 따라가지 못하는 교육시스템’을 청년 실업의 근본 원인으로 지적하며 “교육은 산업계의 요구를 실시간으로 반영해 학생들을 가르쳐야 하는데 기존의 시스템을 유지하는 교육만 하다 보니 학생들이 희생되는 일이 많다”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과학기술부, 지식경제부, 중소기업청 등 관련 부처가 협의해 하루빨리 맞춤형 교육을 위한 개선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밝혔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