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료비 5년새 6.4배… 건보재정 악화 우려 급속한 인구 고령화로 치매 환자가 급증하면서 최근 5년간 진료비가 6.4배 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출산고령사회연구실 오영희 박사는 ‘노인의 치매 실태와 대책’ 보고서를 통해 2008년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의 표준 치매 유병률은 8.40%로 나타났다고 5일 밝혔다.

향후 치매 유병률은 2010년 8.76%, 2020년 9.74%, 2040년 11.21%, 2050년 13.17%로 높아지면서 환자 수도 2010년 47만명, 2020년 75만명, 2040년 168만명, 2050년 212만명으로 급증할 전망이다.
치매환자의 증가로 의료비 등 사회적 부담도 커질 전망이다.
65세 이상 노인의 치매 총 진료비는 2002년 470억원(진료실 인원 3만9500여명)에서 2007년 3026억원(〃 12만2300여명)으로 6.43배 늘었고, 1인당 진료비도 118만8000원에서 247만8000원으로 2.09배 증가했다.
또 지난해 노인장기요양 등급인정자 25만9400여명 가운데 치매환자가 5만7300명으로 22.1%, 치매·중풍환자가 1만8600여명으로 7.2%를 각각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오 박사는 치매노인의 증가는 장기요양보험의 재정 악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치매 위험 인자는 고연령과 여성, 저학력이 꼽혔다. 특히 배우자가 없는 상태이거나 머리에 외상을 입은 경력이 있고 우울증을 앓았던 병력이 있다면 치매 위험이 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의 인구 10만명당 치매환자는 35명으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와 비교해 프랑스(79명), 독일(38명), 영국(37명)보다는 적지만 미국(6명), 일본(7명), 이탈리아(20명)보다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 박사는 “치매는 조기발견이 중요한 만큼 전국의 모든 보건소가 치매조기검진 사업을 시행토록 법적 근거를 마련해야 한다”며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치매 치료관리와 치매환자에 대한 부양부담 경감 방안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ship67@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