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 파괴·인간성 상실 결과 초래
자연의 도움이 있어야만 생명 유지
“세상에 경이로운 것이 많기는 하지만, 인간보다 경이로운 것이 없도다. (…중략…) 신들 중 최고의 신이며 사멸하지 않고 지칠 줄 모르는 대지까지도 인간은 피곤하게 부린다.” 괴테(Johann Wolfgang von Goethe)가 쓴 ‘파우스트’ 중 일부다. 파우스트는 세상의 중심으로서의 인간의 지위를 주장한다. 그는 자연을 완벽히 통제하고 조정하는 인간의 능력을 찬양한다. 인간이 우주의 중심이라는 파우스트의 오만함을 그대로 보여주는 부분이다. 최근 정치권 논란의 핵심인 4대강 사업이나 세종시 건설 등의 국토개발 사업을 보면 자연은 인간의 생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도구일 뿐인가라는 의문이 든다. 근대화 과정을 거치면서 우리는 인간이 자연보다 우월하고 그 능력에 있어 독보적인 존재라 생각하게 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자연과 인간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면서 이와 같은 관점에 대한 반성이 요구되고 있다.
![]() |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4대강 정비사업을 두고 개발론자와 환경론자 사이에서 논란이 뜨겁다. 지난 6월 운하백지화국민행동이 서울 조계사 앞에서 환경파괴 등을 이유로 4대강 사업 폐기를 촉구하고 있다. 세계일보 자료사진 |
인류의 자연관 변천은 인간의 인간 자신에 대한 관념의 변천이기도 하다. 인간은 자연 속에 살면서 자연세계의 사물과 현상을 관찰하고 이해하고 동시에 자연세계의 일부분으로서 존재한다. 그러므로 우리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다양한 관점으로 살펴보고 자연 안에서 인간의 지위에 대해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대표하는 사상 중 하나는 ‘인간중심적 관점’이다. 이는 도가를 대표하는 노자(老子)와 장자(莊子)가 말하는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서 잘 드러난다. 장자가 주장하는 바는 세계는 시작도 끝도 없는 무궁한 변화 속에 있으며, 그 근원은 인간의 지혜로는 파악할 수 없다는 것이다. 그래서 인간은 우주의 주체가 아니라 우주의 극히 미미한 일부분일 뿐이라고 주장한다.
이는 노자의 사상과도 비슷하다. 자연은 물질의 세계뿐 아니라 정신세계까지도 포함한다. 그러므로 자연은 인간과 분리될 수 없을 뿐 아니라 인간에 의해 지배되지도 않는다. 또 자연과 인간은 궁극적으로 하나이며, 우주의 만물이 일체를 이루고 서로 상응하며 조화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봤다.
이와 비슷한 것으로 자연평등주의 사상이 있다. 이는 홍대용(洪大容)의 ‘의산문답’ 중 허자와 실옹의 대화에 잘 나타난다. 허자와 실옹의 입을 통해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이 제시되는데, 인간이 만물의 영장이고 만물의 중심이라는 인간중심주의적 관점과 다른 하나는 자연평등주의적 관점이다. 인간이 귀한 존재인가, 자연이 귀한 존재인가의 문제는 인간의 입장에서 보는가, 자연의 입장에서 보는가에 따라 달라진다. 즉 하늘의 관점에서 본다면 인간과 자연은 평등하다는 주장이다.
자연과 조화 이뤄야 비로소 행복
이에 반해 데카르트(Rene Descartes)는 인간중심주의와 심신이원론적 사고를 바탕으로 인간과 자연의 관계를 해석한다. 데카르트는 기본적으로 수학적 방법론에 기반한 이성에 의해 세상은 낱낱이 파악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즉 단선적이고 기계적 인과율로 엮인 세상은 인간의 이성으로 충분히 분석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이는 결국 세상의 중심은 이성이고 이성을 지닌 인간이 중심이 된다는 의미로 해석된다.
![]() |
조승희 한우리독서논술 연구원 |
인간중심적 관점과 자연중심적 관점 모두 문제가 있다. 인간 편에서 자연을 바라본다면 현대사회가 안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점들은 더욱 심화될 것이다. 반대로 자연을 중심으로 환경과 자연을 바라본다면 현대사회에서 누릴 수 있는 많은 혜택을 포기하고 문명 이전의 삶이 이상적이라는 비현실적인 생각에 갇힐 수도 있다.
인간이 이성적이며 존엄한 존재라고 생각하는 것은 당연하다. 하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사실은 인간이 자연으로부터 비롯됐다는 점이다. 자연과의 관계에서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생명을 얻고 또 그 자연의 도움이 있어야만 생명을 유지해 나갈 수 있다. 인간과 자연에 대한 폭넓은 진리와 지식을 습득하고 인간과 자연이 조화를 이룰 때 비로소 행복을 느낄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한다.
조승희 한우리독서논술 연구원
〈생각해 볼 문제〉
1.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정리해 보자.
2.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어떻게 해석하는지 생각해 보자.
3.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1.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관점을 정리해 보자.
2. 데카르트의 심신이원론은 인간과 자연의 관계에 어떻게 해석하는지 생각해 보자.
3. 인간과 자연이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인가.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