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장기 불황'에 사업실패·20대 자살 급증

입력 : 2009-04-10 16:45:56 수정 : 2009-04-10 16:45:56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해 자살자수는 5년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지만, 장기적인 경기 불황에 따라 ‘사업실패’ 등으로 인한 자살자 비율은 급증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대 자살자 비율은 폭증세를 보이는 등 30세 이하와 여성 자살자의 비중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보건복지가족위원회 임두성(한나라당) 의원은 10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2004∼2008년 자살자 통계’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자살 동기별로는 2004년부터 5년간 2만9047명이 ‘염세 비관’으로 자살, 45.7%로 가장 큰 비율이 높았다. 이어 ‘병고’ 22%(1만3982명), ‘치정ㆍ실연ㆍ부정’ 7.7%(4861명), ‘정신이상’ 6.9%(4419명), ‘가정불화’ 5.7%(3588명), ‘빈곤’ 4.3%(2721명), ‘낙망’ 4.0%(2536명), ‘사업실패’ 3.7%(2358명) 등 순이었다.

특히 경기 불황에 따른 사업실패로 인한 자살자 비율이 급증, 2004년 3.6%에서 2005년 3.3%, 2006년 2.7%, 2007년 2.2%를 보이더니 경기침체가 확산된 2008년 6.8%로 폭증했다.

연령별로는 30세 이상의 자살 비율은 비슷한 반면 30세 이하 자살 비율은 해마다 커졌다. 20세 이하 자살자 비율은 2004년 2.0%, 2005년 2.2%, 2006년 2.1%, 2007년 2.6%, 2008년 2.9%로 꾸준히 늘었다.

또 21∼30세 이하 자살자 비율은 2004년 8.7%에서 2005년 10.2%, 2006년 8.9%, 2007년 11.6%를 기록한 뒤 2008년 12.8%로 4년전보다 4.1%포인트 급증했다.

또 20~30대의 사망 원인 1위는 모두 자살로 나타났다. 2007년 20대 사망자의 38.6%, 30대 25.8%가 자살로 인해 사망한 것으로 조사됐다.

성별로는 5년간 남성 자살자 비율이 65~70% 수준으로 대체로 높은 가운데 여성 자살자의 비율은 해마다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성 자살자비율은 2004년 29.4%에서 2008년 35.2%로 5.6% 증가했다.

임 의원은 “장기불황 속에 경제적인 어려움으로 극단적인 선택을 하는 사람이 늘고 있다”며 “특히 청소년과 청년들은 대한민국의 미래를 짊어지고 갈 세대라는 점에서 젊은 세대의 자살율 감소를 위한 대책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hong@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슈화 '깜찍한 볼하트'
  • 아이들 미연 '깜찍한 볼하트'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