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설별로 살펴보면 정수장은 500여개 시설을 대상으로 5841건의 검사가 실시됐는데 0.1%인 3건, 수도꼭지는 총 6만9733건 중 1건(0.001%)이 기준을 초과했다. 수도꼭지 초과율은 2007년(0.03%)보다 개선이 뚜렷해졌는데 이는 2007년부터 연 1회 저수조 수질검사를 의무화하는 등의 조치를 취한데 따른 것이라고 환경부는 분석했다.
마을상수도 및 소규모급수시설 등 2만1000여개 시설을 대상으로 한 8만4607건의 검사에서는 2523건이 기준을 넘어섰다.
기준 초과 내역을 보면 취수원 주변의 오염물질 유입 등으로 질산성질소 항목이 1036건으로 가장 많았고, 소독 미흡에 따른 일반세균·총대장균등 등의 항목이 796건으로 뒤를 이었다. 지역별로는 부산이 12.2%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인천(9.3%), 경기도(8.0%) 등의 순이었다.
환경부는 “소규모 수도시설 개량 사업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보다 나은 먹는 물을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강구열 기자 river910@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