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 “일자리 창출” 강조… 민주 악법저지 총력 여야가 미디어 관련법 처리를 두고 ‘100일 전쟁’에 본격 돌입한다. 11일 미디어법 의견수렴 기구인 ‘미디어발전국민위원회(이하 국민위)’의 라인업을 거의 확정짓고 13일 첫 회의를 연다. 여야는 국민위의 100일간 논의를 거쳐 6월 국회에서 표결 처리할 예정이다. 표결 처리를 앞두고 미디어법의 운명이 여론에 의해 갈릴 것으로 보여 여야 간 대국민 홍보전도 한층 가열될 전망이다.
민주당은 이날 국민위의 자당 소속 위원 8명을 확정했다.
이들 8명은 강상현 연세대 교수, 최영묵 성공회대 교수, 이창현 국민대 교수, 류성우 전국언론노련 정책실장, 조준상 공공미디어연구소장, 박민 지역미디어공공성위원회 집행위원장, 강혜란 한국여성민우회 미디어운동본부 소장,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소속 김기중 변호사다.
한나라당은 자당 몫 10명 가운데 김우룡 한양대 석좌교수, 황근 선문대 교수, 강길모 미디어발전국민연합 공동대표, 최홍재 공정언론시민연대 사무처장, 변희재 실크로드 CEO포럼 회장, 이헌 시민과 함께하는 변호사들 공동대표 6명을 확정하고, 나머지 4명은 인선 중이다. 창조한국당은 지난 10일 박경신 고려대 교수를 선정했다.
국회내 논의 틀인 국민위 활동과 함께 여야는 미디어법 여론몰이를 위한 홍보전에 나서는 ‘투 트랙 전략’을 본격화하고 있다. 한나라당은 3월 중 미디어법이 청년 일자리 창출과 연관이 있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각 대학을 돌며 의원들이 특강에 나서는 이벤트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방위 소속 의원들을 주축으로 각종 TV토론회에 나가 ‘언론장악 기도’라는 미디어법에 대한 ‘오해’를 풀고 야당의 반대논리도 무력화한다는 구상이다. 당 디지털정당위원회는 ‘온라인 공청회’ 등 사이버 선전전도 검토하고 있다.
민주당은 정세균 대표 등 지도부가 총출동해 권역별로 전국을 돌며 릴레이 토론회 및 공청회를 갖고 미디어법 반대 여론몰이에 나선다. 지난 1월부터 전국 시도당을 순회하며 개최하는 당원교육도 강화하고 있다.
내주에는 특별당보 수십만부를 찍어 가두배포를 하는 한편, 버스와 지하철에 광고를 내 미디어법 반대 여론을 형성한다는 전략이다. 언론관련 단체와 함께 대규모 집회를 여는 장외투쟁 카드도 준비하고 있다.
하동원·이강은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