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nit 2-5: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
Situation: Peter Jung and Paul Kim are close friends. Paul is now asking Peter about what time he leaves the office.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
Paul Kim: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
Peter Jung: At five. How about you?
Paul Kim: Not always. More often than not, I have to stay late.
Peter Jung: Why is that?
Paul Kim: Our company's head office is in New York City. And I often have to contact the office.
Because of the different time zones, I have to call them after eight.
Peter Jung: Oh, I see.
상황: 피터 정과 폴 킴은 친한 친구 사이입니다. 지금 폴 킴이 피터 정에게 몇 시경에 퇴근하는가를 묻습니다.
몇 시에 퇴근하니?
피터 정: 몇 시에 퇴근하니?
폴 킴: 다섯 시에. 너는?
피터 정: 항상 그렇지는 않아. 나는 자주 늦게 까지 근무 해야 해.
폴 킴: 왜 그러는 데?
피터 정: 우리 본사는 뉴욕시에 있어. 그리고 내가 종종 본사와 연락해야 하거든.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여덟 시 이후에 걸어야 돼.
폴 킴: 응, 알겠어.
Useful Expressions
1.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 몇 시에 퇴근하니?
여기서 leave는 “~를 떠나다”라는 뜻으로 leave the office하면 “사무실을 떠나다” 즉, “퇴근하다”라는 뜻으로 썼습니다. “떠나다”라는 의미로 쓴 leave의 반대말은 arrive at 즉, “~에 도착하다”인데 arrive at the office하면 글자 그대로 “사무실에 도착하다”라는 말입니다. 참고로, 흔히 “출근하다”라는 말은 go to the office 혹은 go to work으로 씁니다.
2. At five: 다섯 시에
이 말은 I leave the office at five 즉, “나는 5시에 퇴근 한다”를 줄여서 한 말입니다. 미국 사람들이 흔히 I work (from) nine to five하는데 이 말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기면 “나는 9시부터 5시까지 일한다”지만 이 표현은 white collar job을 가진 white collar worker가 “나는 정규 사무직에 종사한다”라는 뜻으로 말할 때 쓰는 표현입니다.
참고로, white collar와 상대적인 표현으로 blue collar가 있는데 blue collar job하면 “생산직”을 뜻하며 blue collar worker하면 “생산직 종사자”를 뜻하는데 여기서 collar는 “(옷)깃”이란 뜻으로 쓰는 말입니다. 원래 white collar는 사무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suit 즉, “양복”을 입고 dress shirt 즉, 우리가 흔히 “와이샤쓰”라고 부르는 것을 입고 (neck)tie 즉, “(넥)타이”를 매는데 dress shirt의 칼라가 흰 색인데서 유래한 말입니다.
그리고 blue collar 또한 생산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입는 shirt의 칼라가 청 색인데서 유래한 말인데 흥미 있는 것은 지금은 세계적으로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유행하는 blue jeans 즉, “청바지”는 원래 미국의 생산직에 종사하는 사람들이 일할 때 입던 복장입니다. 끝으로, 그리고 우리가 흔히 “사무직 종사자”를 부를 때 “봉급”이란 뜻의 salary와 “장이”라는 뜻으로 쓴 man을 붙여 salary man 즉, “봉급장이”라고 하는데 이 말은 일본 사람들이 만든 영어로 미국에서는 통용되지 않는 말입니다.
3. How about you?: 너는?
이 말은 회화에서 흔히 쓰는 표현으로 상대방이 한 어떤 말에 대해 대답을 하고 상대방이 한 말로 상대방에게 되 물을 때 쓰는 표현입니다. 여기서는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라는 질문에 에 At five라고 대답을 하고 What time do you leave the office?로 상대방에게 되물을 때 이 질문을 다시 반복하지 않고 How about you?로 되 물은 것으로 “너는 몇 시에 퇴근하니?의 뜻으로 물은 것입니다. 참고로, How about you?는 What about you? 혹은 And you? 등으로도 씁니다.
4. Not always: 항상 그렇지는 않아
이 말은 I don’t always leave the office at five 즉, “나는 항상 다섯 시에 퇴근 하지는 않아”의 뜻으로 한 말입니다. 따라서, 여기서 Not always는 “항상 그렇지는 않다”라는 뜻으로 쓴 말입니다.
5. More often than not, I have to stay late: 나는 자주 늦게까지 근무 해야 해
More often than not은 often 즉, “종종”보다 횟 수가 많은 “자주”란 뜻이고 have to ~은 “~해야 한다”라는 뜻이며 stay late은 “늦게 까지 있다, 머물다”라는 뜻으로 쓴 말입니다. 참고로, stay up이란 표현이 있는데 이는 “밤 늦게까지 안자다”라는 말로 I stayed up all night last night하면 “난 어제 밤 꼴딱 샜어”라는 말입니다.
6. Why is that?: 왜 그러는데?
이 말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기면 “그 것은 왜 그래?”인데 여기서 that 즉, “그 것”은 More often than not, I have to stay late을 가리키는 말로 이 문장은 “네가 종종 늦게 까지 근무해야 하는 것은 왜 그러는데?”를 줄여서 한 말입니다. 일반적으로 that은 “저 것(은)”으로 풀이하지만 실지로는 “저 것(은)”은 물론, “그 것(은)”의 의미로도 쓴다는 것을 유의 하여야 합니다. 참고로, Why is that?은 또한 Why? 혹은 How come?으로도 쓸 수 있습니다.
7. Our company's head office is in New York City: 우리 회사의 본사가 뉴욕 시에 있어
이 말은 Our company's head office is located in New York City와 같은 말로 여기서 located in ~는 또한 situated in ~와 같이 “~에 위치한”의 뜻으로 쓰는 말입니다. 그리고 head office는 headquarters 즉, “본부”와 같은 의미로 쓴 것인데 여기서 한가지 유의할 것은 headquarters는 말 자체가 복수형태를 띄고 있지만 단수로 취급합니다.
8. I often have to contact the office: 나는 종종 본사와 연락을 해야 하거든
이 말을 그대로 우리말로 옮기면 “나는 종종 그 사무실과 연락을 해야 한다”지만 여기서 the office는 company’s head office를 뜻해 “나는 종종 본사와 연락을 해야 한다”라고 풀이 합니다. Have to ~은 이미 언급 하였듯이 “~해야 한다”라는 뜻이고 contact은 “~와 연락하다”라는 뜻인데 여기서는 call의 뜻으로 써서 “전화로 연락하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9. Because of the different time zones, I have to call them after eight: 시간대가 다르기 때문에 여덟시 이후에 걸어야 돼
우선 이 표현은 “우리 사무실이 있는 한국의 서울과 본사가 있는 미국 뉴욕시와 시간대가 다르다”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because of ~은 “~때문에”, “~로 인해서”라는 말이며 the different time zones는 “다른 시간대들”이란 말입니다. 그리고 I have to call them after eight은 “나는 여덟 시 이후에 전화를 해야 한다”라는 말로 여기서 call은 call up 즉, “전화하다”라는 뜻이고 them은 people in the head office 즉, “본사 사람들”을 뜻하며 after eight은 after eight o’clock을 뜻해 “여덟 시 이후에”라는 말입니다. 참고로 “여덟 시 전에”라는 말은 before eight (o’clock)이고 “여덟 시에”는 at eight (o’clock)입니다.
미국은 땅이 넓다 보니 time zone 즉, “시간대”가 여러 개가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시간대로는 뉴욕과 워싱턴 DC를 포함하는 동부지역의 the Eastern time zone, 시카고와 덴버를 포함하는 중부지역의 the Central time zone, 그리고 태평양 연안의 로스 엔젤리스와 쌘 후랜씨스코를 포함하는 서부지역의 the Pacific time zone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리도 한 때 사용한 경험이 있지만, 미국은 또한 daylight saving time 혹은 summer time이라는 것이 있어서 여름이 시작 될 때 한 시간을 당겨서 낮 시간을 길게 하고 겨울이 시작 될 때 원래 시간으로 시간을 맞춰 밤을 길게 하는 제도를 씁니다.
출처: 반석출판사, 즉석 비즈니스 영어회화 사전
정한석 박사 hanjung1@empal.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