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정보화사회 독버섯 '사이버 범죄']⑤양근원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장

입력 : 2008-02-01 07:56:39 수정 : 2008-02-01 07:56:39

인쇄 메일 url 공유 - +

“사이버범죄 급속 진화, 기술연구 전담팀 시급” “유비쿼터스 환경이 완벽히 갖춰지면 네트워크에 침입한 범죄자가 전자기기를 제어해 방화를 저지를 수도 있습니다”.

양근원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장(사진)은 “사이버범죄가 과거 호기심형 해킹에서 최근에는 범죄의 주요 수단으로 사이버 기술을 동원하는 양상으로 변하고 있다”며 “홈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레인지를 과열시켜 집에 불을 낼 수도 있다”고 사이버범죄의 심각성을 경고했다.

범죄자들은 추적을 피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을 강구하는데, 새롭게 개발되는 인터넷·통신 기술이 범죄자에게 유용한 수단으로 쓰일 수 있다는 게 양 센터장의 설명이다.

이런 우려는 이미 현실로 다가왔다. 예컨대 와이브로는 이동하면서도 자유롭게 인터넷을 이용할 수 있는 편리한 기술이지만, 범죄자는 IP 주소가 수시로 바뀌는 와이브로를 위치노출방지용으로 이용하는 실정이다.

양 센터장은 이같이 급변하는 통신환경과 하이테크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경찰에도 ‘리딩 그룹’을 만들 필요가 있다고 역설한다.

개발자들은 새로운 정보기술을 내놓을 때 부작용과 역기능을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이를 연구해 추적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별도 조직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양 센터장은 일반인들도 사이버범죄 피해를 예방하기 위해 인터넷 이용 시 주의를 철저히 기울여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자기 PC에 들어 있는 모든 정보는 누군가가 탈취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제해야 한다”며 “특히 금융기관 보안인증서 등은 반드시 USB에 저장해 이용하고, 함부로 개인정보를 인터넷에 입력하지 않는 예방 노력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개인정보는 대부분 사이버범죄의 시발점이 되기 때문이다.

국내 ‘사이버 수사의 지존’으로 불리는 양 센터장은 1990년대 초반 PC통신에 흥미를 느껴 컴퓨터를 공부하다 경찰 업무에 필요한 프로그램을 개발했을 정도의 실력파. 이후 신종 컴퓨터범죄 수사에 본격적으로 뛰어든 그는 1997년 창설된 경찰청 컴퓨터범죄수사대의 초대 대장과 1999년 초대 사이버범죄수사대장을 역임했고, 2006년 총경으로 진급하며 사이버테러대응센터장을 맡고 있다. 2000년에는 국내 최고의 해커 8명으로 구성된 ‘타이거팀’을 검거하는 등 언론에 보도된 어지간한 사이버범죄는 모두 양 센터장의 손을 거쳤다.

사회부 기획취재팀=이천종·박호근·이진경·김정필·유태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채수빈 '햇살보다 눈부신 미모'
  • 채수빈 '햇살보다 눈부신 미모'
  • 이은지 ‘밥값은 해야지!’
  • 차주영 '완벽한 비율'
  • 샤오팅 '완벽한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