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광복 전 1만명당 1.8명만 고등교육 받아

입력 : 2008-01-21 17:01:11 수정 : 2008-01-21 17:01: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통계로 보는 ‘일제강점기’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이 우민화정책을 추진해온 실상이 드러났다. 우리나라 사람 중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은 인구 1만명당 1.8명에 불과한데 한반도에 거주한 일본인은 이 숫자가 52명에 달했다.

이 같은 사실은 통계청이 20일 발표한 ‘광복 이전(1934∼43년) 통계’ 자료에서 밝혀졌다. 통계청은 이 통계를 국가통계포털(KOSIS)에 공개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일제강점기 시절 우리나라의 경제사회상을 보여주는 이 통계를 분석하면 우리나라 사람들은 교육의 기회를 박탈당한 채 피지배 계층으로 굳어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고등교육자 1만명당 1.8명=광복 이전 통계는 암울했던 일제강점기의 시대상을 고스란히 보여준다. 태평양전쟁이 한창이던 1943년 말 우리나라의 총인구는 2666만2000명이었다. 2006년 현재 남북한 인구(7137만6000명)의 37% 수준이었다. 당시 총 인구의 2.8%인 75만3000명은 일본인이었다.

그러나 일본인과 한국인의 생활은 ‘극과 극’이었다. 이 시절 전문학교, 대학예과, 대학 등 전문학교 이상의 고등교육을 받은 한국인 학생은 인구 1만명당 1.8명에 불과했다. 이는 2006년 현재 734명에 비교할 수 없을 정도다. 이에 반해 일본인 고등교육을 받은 학생은 1만명당 52명에 이르렀다.

일자리 통계는 더욱 놀랍다. 1943년 당시 일본인은 10명 중 4명꼴(38.4%)로 공무원 및 자유업에 종사했다. 공업에는 21.2%, 상업에는 16.6%, 교통업에는 8.0%, 농업에는 5.0%가 종사했다.

반면 한국인은 농업 종사자가 전체의 77.7%로 가장 많았으며 공업(3.9%), 상업(3.9%), 공무원 및 자유업(2.7%), 광업(1.8%)은 극히 적은 수가 종사했을 뿐이다.

◆출생과 사망률, 현재보다 3배 이상 높아=1937년 당시 한국인의 출생아 수는 인구 1000명당 29명으로 2006년 9.2명보다 3.2배나 됐다. 사망자 수는 현재(2006년 5.0명)의 3.6배인 17.8명에 달했다. 그만큼 의료·보건 환경이 열악했다는 뜻이다.

실제로 사망자 중 0세아가 차지하는 비율이 11.4%에 달했다. 1∼5세도 26.7%에 이르렀다. 이는 2006년 현재 각각 0.7%, 0.2%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높은 수준이다.

당시 결혼은 남성 20대 초반, 여성 10대가 대세였다. 여성들은 10명 중 7명은 10대에 결혼했으며 30세를 넘기는 경우는 극히 드물었다. 여성의 결혼 나이는 15∼19세가 73%에 이르렀다. 20∼24세는 14.6%에 머물렀고 30∼34세는 0.98%로 1%에도 미치지 못했다. 남자의 혼인 연령은 20∼24세가 38.8%로 가장 많았다. 25∼29세는 22.9%에 달했다. 2006년 현재 30∼34세에 결혼하는 여성과 남성의 비율이 각각 18.8%, 38.1%에 이르고 있다.

영화(활동사진) 관람 인원은 연간 총 2659만2000명으로, 1인당 연간 1회, 연극 관람 인원은 421만9000명으로 1인당 연간 0.2회에 불과했다. 2006년 기준 영화관람 인원은 1억5341만명으로 1인당 평균 3.1회 관람한 것으로 나타났다.

주춘렬 기자 cljoo@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민정 '반가운 손인사'
  • 이즈나 정세비 '빛나는 미모'
  • 송지효 '바다의 여신'
  • 김다미 '완벽한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