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트 푹스 지음/전은경 옮김/미래M&B ‘캐리커처로 본 여성풍속사’는 여성과 관련된 다양한 캐리커처 500여점을 바탕으로 유럽 여성들의 성과 결혼, 모드(유행·패션), 직업, 역사적 여성인물 등 다양한 풍속과 사회상을 다루고 있다. 책 속에 등장하는 컬러와 흑백으로 된 캐리커처에는 바지를 차지하기 위한 투쟁부터 여성해방운동까지 16∼20세기 초 여성들의 삶이 낱낱이 포착된다.
여성에 대한 농담과 풍자, 유머는 시대를 불문하고 존재해 왔다. ‘풍속의 역사’로 이미 성가를 올린 독일 사회주의 예술사가인 저자는 책에서 여성문제를 가장 중요한 사회적 현안으로 파악하고 시대정신이자 풍자예술인 캐리커처를 통해 여성들이 어떻게 자신을 드러내고 풍속사를 써나갔는지 살펴본다.
역사적으로 여성의 육체와 정신은 노동·교육 등에 의해 아름다움을 상실한 채 기괴하게 비틀려졌다. 이러한 상황은 캐리커처에 상징적으로, 때로는 그로테스크하게, 때로는 사실적으로 반영됐다. 일례로 1870년대의 한 캐리커처는 쿠션을 대서 엉덩이와 허리 아랫부분을 강조하는 패션이 등장하는데, 저자는 “원하지 않은 임신 사실을 사람들에게 숨기려 한다는 조롱을 받았다”고 말한다.
밤 11시까지 쉬지 않고 일해 녹초가 된 하녀가 침대 끝에 걸터앉아 있고, 주인이 빠끔 문을 열고 아직 할 일이 남았다는 듯이 음탕한 얼굴로 들여다 본다. 하루의 노동이 끝난 것이 아니다. 한 시간 후에는 아마 주인 아들이 그녀 방을 찾아 올 것이다. 프랑스의 풍자화가 포랭이 그린 캐리커처다.
책에는 사랑에 빠진 여자, 노처녀, 과부, 유부녀, 시어머니와 장모, 부정한 여성 등을 소재로 한 풍자그림과 캐리커처가 나라별·시대별로 소개된다. 캐리커처는 또 여성들 특유의 수단과 방법을 밝힘으로써 여성의 아름다움을 찬미한다. 여성이 가슴을 과시하기 위해 첫 번째 연출한 모드는 노출 즉, 데콜테였다. 캐리커처는 속박에서 벗어난 여성을 과장되게 추한 모습으로 표현했고, 지식인 여성은 조롱의 대상으로 묘사했다.
여성끼리 갖는 경쟁심과 증오심도 캐리커처로 다뤄졌다. 또 공장노동자, 창녀, 하녀, 배우 등 다양한 여성의 직업군이 시대변천에 따라 그 모습을 달리한다.
저자는 캐리커처를 ‘극단 속에서 드러나는 진실’로 바라봤다. 진실은 극단으로 과장될 때 그 본질이 확연히 드러난다는 것이다. 책 속에 포함된 많은 문학작품과 시, 민요, 노래는 캐리커처와 함께 당시의 풍속과 사회상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준다.
정성수 기자 hulk@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