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이명박 전·현시장 내년 대선 유력후보 서울시장이 대권으로 가는 ‘징검다리’가 되고 있다.
민선 2기 서울시장을 지낸 고건 전 총리와 이명박 현 서울시장은 유력한 대선 주자로 거명되고 있다. 선두 그룹을 형성하고 있어 서울시 안팎에서는 첫 서울시장 출신 대통령이 나오는 것 아니냐는 기대를 보이고 있다.
민선 서울시장 출신의 대권도전사는 1기 시장을 지낸 조순 전 한나라당 총재 때로 거슬러 올라간다. 조 전 총재는 시장 재직 중인 1997년 8월 김대중 전 대통령의 국민회의 창당으로 미니 정당이 돼버린 민주당의 총재 겸 대선 후보로 나섰지만, 당초 기대와는 달리 큰 지지를 얻지 못하자 신한국당과 합당해 이회창 전 총재에게 후보직을 양보하고 대권의 꿈을 접었다.
그러나 2007년 대선을 앞둔 이번 서울시장 출신들의 레이스는 다르다. 고건 전 총리는 대부분의 여론조사에서 1위를 차지하며 대선 주자 이미지를 굳히고 있다. ‘행정의 달인’이라는 평가와 노무현 대통령 탄핵 당시 대통령 직무대행으로서 무난한 국정운영을 펼친 점이 ‘안정희구형’ 유권자들의 표심을 자극하고 있다.
청계천 복원 효과로 일부 조사에서 고 전 총리를 앞지르는 등 ‘급부상’하고 있는 이 시장은 ‘CEO형 지도자’ 이미지를 내세워 한나라당 대선 후보 경선의 유리한 고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서울시장 자리가 대선 주자들의 ‘징검다리’가 되고 있는 건 ‘서울공화국’ 수장이라는 상징성에 수도 행정을 다뤄본 데 대한 유권자들의 신뢰가 겹치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내년 선출하는 서울시장 출마를 꿈꾸는 정치인 중에도 ‘대권 플랜’을 갖고 있는 이들이 적지 않다.
하지만 대권으로 가기 위해서는 당내 경선을 통과해야 하는 만큼 꾸준히 당내 기반을 닦은 정치인들에 비해 서울시장 출신 후보들이 넘어야 할 장벽은 만만치 않다. 당적이 없는 고 전 총리는 대중적 지지를 실제 표로 연결해줄 탄탄한 조직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있다. 민주당·국민중심당과의 연계설이 끊임없이 흘러나오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최근엔 열린우리당에서 그를 여권 후보의 범주에 넣었다는 얘기도 흘러나온다.
이 시장도 취약한 당내 기반을 극복할 모멘텀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최근 지지도가 오르면서 당내 기반도 많이 넓혀졌다는 것이 중평이나, 내년 퇴임 이후 대선후보 경선까지 긴 시간 동안 지지율과 탄력적 경쟁력을 얼마나 이어갈 수 있느냐가 변수가 될 전망이다.
양원보 기자
wonbos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