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을 제대로 쓰기 위해서는 첫째로 심신을 조화시키는 훈련이 필요하다. 식사할 때 단순히 밥을 먹는 게 아니라 '마음을 먹는 기분'으로 밥 먹는 행위에 마음을 쏟는 훈련을 하는 것이다. 옛 어른들이 "밥 먹을 때 떠들지 말라"고 꾸중하는 것은 밥알이 튈까봐 그러는 것이 아니라 정신을 집중하고 밥을 먹는 것이 몸에 더 좋다는 가르침이었다.
운동에도 마음이 가야 한다. 운동하는 동안에 딴생각을 하거나 옆에 있는 사람과 잡담하는 것보다는 모든 동작에 마음을 모아서 한다면 더욱 효율적인 운동이 된다. 호흡하는 것도 정신을 집중하여 공기를 들이마시는 게 아니라 마음을 마시는 기분으로 숨과 마음을 일치시키면 가장 유익한 호흡이 될 수 있다. 잠자는 것도 잡념을 없애고 마음을 갈아앉힌 상태로 잠을 청해야만 숙면을 취할 수 있다.
둘째로 항시 긍정적인 사고를 유지해야 한다. 약의 성분이 하나도 안 섞인 가짜 약을 먹고도 진짜로 낫는 효과를 '플라시보(위약)효과'라고 하는데, 이 효과는 "이 약을 먹으면 반드시 나을 것이다"라는 확신을 가진 사람들에게만 나타난다. 긍정적인 사고를 지니고 있는 사람은 체내에 긍정적인 호르몬이 분비되고 부정적인 사고를 지니면 부정적인 호르몬이 분비된다. 긍정적인 호르몬은 우리의 기분을 상쾌하고 만들고 통증도 완화시켜 주며, 스트레스의 수준도 줄여 주고 건강 상태를 호전시킨다.
셋째로 스트레스 관리를 잘 하여야 한다. 약간의 스트레스는 정신을 차리게 해주고 생기마저 더 불어넣어 주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그러나 스트레스의 정도가 너무 지나치면 병이 된다. 스트레스를 피할 수 없는 현대인으로서는 스트레스를 잘 관리하는 요령을 익혀야 한다. 해야 할 일을 미리 해 놓거나, 약속 장소에 미리 가 있거나 하는 행위가 스트레스 예방의 한 예이다.
명상이나 요가도 큰 도움이 되고 의사의 도움을 받아 '바이오 피드백'을 훈련하는 것도 좋다.
끝으로 되도록 욕심과 원한을 버리고 가난한 마음의 소유자가 되어야 한다.마음에 든 것이 없이 텅텅 비어 있어야 마음은 제자리를 찾게 된다.
<전세일 연세의대 재활의학과 교수 >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