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제약사 모더나가 내년 2분기부터 한국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 2000만명 분량을 공급할 예정이다. 모더나와 계약이 완료되면 한국이 확보하는 코로나19 백신은 5600만명분으로 늘어난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29일 오전 브리핑에서 “문재인 대통령이 스텐판 반셀 모더나 CEO(최고경영자)와 어젯밤 9시53분부터 10시20분까지 화상통화를 했다”면서 “27분간 통화에서 2000만명 분량인 4000만 도즈의 백신을 공급하기로 합의했다. 계약 협상을 추진하던 물량인 2000만 도즈보다 도입 규모가 2배 늘어났다”고 밝혔다.
당초 정부는 모더나로부터 1000만명 분량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는데, 문 대통령이 직접 모더나 CEO와 통화하면서 분량이 2배로 늘어난 것이다.
강 대변인은 백신 공급 시기도 앞당기기로 했다고 전했다. 모더나는 당초 내년 3분기부터 물량을 공급하기로 했지만 2분기부터 시작하기로 합의한 것.
아울러 강 대변인은 정부와 모더나가 함께 공급시기를 더 앞당기기 위한 추가적인 노력을 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이날 청와대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 한국은 계약을 완료한 코로나19 백신은 3600만명 분량에서, 모더나로부터 들여오는 2000만명분을 더해 총 56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
앞서 정부는 지난 23일 얀센과 600만명분, 화이자와 1000만명분 계약을 완료했다.
지난달 27일에는 아스트라제네카와 1000만명분의 공급 계약을 맺었으며, 코백스 퍼실리티(WHO를 통한 공동구매 방식)를 통해 1000만명분을 확보했다.
5600만명분의 백신을 확보하게 되면 한국도 인구 수 대비 백신 확보 비율이 100%를 넘게 된다. 지난 22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7개국 중 32개국은 이미 이 비율이 100%를 넘었다.
문 대통령은 “모더나 백신이 거두고 있는 성공과 긴급사용승인을 축하하며, 코로나 극복의 희망이 되고 있는 것에 대해 대한민국을 대표해서 감사드린다”고 말했다고 강 대변인은 전했다.
이에 반셀 CEO는 “백신이 조기에 공급되도록 최선을 다하겠다. 한국 정부가 빠른 계약 체결을 원하면 연내에도 계약 체결이 가능하다”고 했고, 문 대통령은 “가급적 연내 계약 체결을 희망한다”고 말했다.
당초 연내 계약이 어려울 것이란 전망이 지배적이었지만, 어제의 통화를 통해 계약이 앞당겨진 것이라는 게 청와대 설명이다.
한편, 문 대통령과 반셀 CEO는 통화에서 한국 국립보건 감염병 연구소와 모더나가 팬데믹(전염병 대유행) 공동대응 및 임상실험, 연구·개발에 협력한다는 내용의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약속했다. 모더나 백신을 한국 기업이 위탁생산하기 위한 협력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반셀 CEO는 “한국 정부가 바이오 신약개발을 중시하고 있고, 한국 대기업이 강력한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는 것을 잘 안다”면서 “백신 개발에도 불구 생산 역량이 부족했는데 위탁생산 시 대규모 생산 능력 구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기대감을 전했다.
문 대통령은 “향후 신종 감염병이 발생할 경우 대량 생산을 통한 빠른 공급이 가능하도록 모더나와 국내 제약기업과의 긴밀한 협력 관계 구축은 물론 공동연구 추진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에 우리 정부도 적극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화답했다.
현화영 기자 hhy@segye.com
사진=연합뉴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