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회가 9일 오후 7시 5분쯤 자유한국당이 불참한 가운데 본회의를 열어 민생법안 처리에 들어갔다.
당초 더불어민주당과 자유한국당은 이날 오후 2시 본회의를 열기로 합의했다. 양 당은 민생법안 180여 건을 우선 처리하고, 쟁점이 되고 있는 검경수사권 조정법안 등은 10일 본회의를 다시 열어 상정하기로 합의했다. 이에 따라 한국당은 필리버스터를 철회했다.
그런데 전날 추미애 법무 장관이 검찰 간부 인사를 단행하고 한국당이 이에 반발하며 분위기가 변했다.
한국당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를 열고 추 장관의 검찰 간부 인사를 ‘검찰 학살’로 규정했다. 또 추 장관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제출하겠다고 밝혔다. 본회의 개의시 긴급 현안질의, 관련 상임위 소집, 국정조사 등도 요구했다.
한국당의 의원총회가 길어지며 의원들이 본회의장에 나타나지 않고, ‘4+1’(민주당·바른미래당·정의당·민주평화당+대안신당) 소속 야당 의원들도 늦어지며 정족수(148석)가 채워지지 않아 오후 2시 본회의 개의는 불발됐다.
민주당은 오후 6시 본회의 개의를 결정했지만 여전히 일부 의원들의 도착이 늦어졌다. 바른미래당이 의원총회에서 본회의 자율 참석을 의결하며 정족수 확보 자체가 불투명해졌다.
오후 7시쯤 간신히 정족수가 채워져 본회의가 개의됐다. 본회의 개의 후 처음 표결에 부쳐진 ‘회기 결정의 건’은 재석 의원 151명 전원 찬성으로 통과됐다. 이후 각종 민생법안이 상정 및 표결 처리되기 시작했다.

청년기본법 재정안 처리 차례가 되자 신보라 한국당 의원(37·비례대표)이 토론에 나섰다.
신 의원은 “오늘 본회의가 민주당에 의해 일방적으로 강행되면서 반쪽 국회로 민생법안이 처리되는 것을 안타깝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한국당 모든 의원의 찬성 마음을 담아 제가 대표로 찬성 표결에 임한다”고 말했다.
신 의원의 발언에 민주당 의원들은 “그렇다면 본회의에 들어와서 하라”거나 “부끄럽다는 생각을 하라”고 소리쳤다.
김명일 온라인 뉴스 기자 terry@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