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단독] 가축분뇨 악취 민원 10년 새 4배 증가

입력 : 2014-02-10 06:00:00 수정 : 2014-02-10 14:36:11

인쇄 메일 url 공유 - +

해양투기 전면금지 후 급증
자원화 시설도 상당수 부실
농촌이 가축분뇨의 역겨운 냄새에 빠르게 점령당하고 있다. 주민들의 고통은 이만저만이 아니다. 농촌은 더 이상 ‘공기 좋고 물 맑은 곳’과는 거리가 멀다. 가축분뇨 악취 민원은 2003년 2381건에서 2012년 9941건으로 10년간 무려 4.2배 증가했다. 축산업은 양적으로 성장했지만 가축분뇨 처리 등 친환경 축산은 열악한 수준에 머물고 있다. 

9일 농림축산식품부와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 따르면 가축분뇨 악취 민원은 2003년 2381건에서 2004년 3910건으로 1529건이나 늘었다. 2005∼2007년에는 증가 폭이 크지 않았지만 가축분뇨의 해양투기 축소가 본격화한 2008년에는 5954건으로 껑충 뛰었다. 2009년(6297건) 증가세가 다소 주춤했다가 2010년 7247건, 2011년 8372건으로 크게 확대했다. 가축분뇨의 해양투기가 전면금지된 2012년에는 전년에 비해 1569건이나 폭증했다. 바다에 버리지 못하게 된 물량이 육상에서 제대로 처리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축산업 생산액은 1990년 3조9229억원으로 전체 농림업 생산액(18조5456억원)의 21.2%에 머물렀다. 2012년에는 16조225억원으로 농림업 생산액(46조3571억원)의 34.6%로 비중이 커졌다. 이 기간 농림업이 2.5배 성장한 반면 축산업은 4.1배 발전한 것이다. 이에 가축분뇨 발생량도 2006년 4025만5000t에서 2012년 4648만9000t으로 늘었다. 가축분뇨는 퇴비와 액비(물거름)로 자원화하거나 정화방류, 해양투기 등을 해왔다. 2006년에는 가축분뇨 중 82.7%(3329만3000t)가 자원화, 9.1%(365만4000t)는 정화방류, 6.5%(260만7000t)는 해양투기, 1.75%(69만6000t)는 자연증발 등으로 처리됐다.

이후 해양투기의 축소와 금지로 가축분뇨의 자원화 물량이 증가했다. 2012년 자원화 규모는 88.7%(4123만6000t)로 올라갔다. 그러나 퇴·액비가 엉터리로 만들어져 농경지 살포 시 ‘무시무시한’ 악취가 발생하고 있다. 농식품부가 작년 4∼6월 전국 260개 가축분뇨 자원화 조직체의 액비 부숙(腐熟·썩혀서 익힘) 상태를 조사한 결과, 절반 이상이 완전히 썩지 않았다. 액비유통센터 208곳 중 79곳(38%)만 부숙판정을 받았다. 126곳은 중숙, 3곳은 미숙 상태였다. 공동자원화시설 52곳 중 28곳(53.8%)은 부숙, 15개소는 중숙, 24개소는 미숙판정을 받았다. 정부가 2011년 축사 1만7720곳의 실태를 조사해보니 9925곳이 무허가였다.

세종=박찬준 기자 skyland@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김다미 '완벽한 비율'
  • 김다미 '완벽한 비율'
  • 조보아 '반가운 손인사'
  • 트리플에스 김유연 '심쿵'
  • 트리플에스 윤서연 '청순 매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