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韓 “우리 대통령도 도청했나”… 美 “입장 이해한다” 딴청

입력 : 2013-10-29 19:07:44 수정 : 2013-10-29 22:13:13

인쇄 메일 url 공유 - +

NSA 도청 사실관계 확인 요청에 원론적 답변만
“사실일 땐 매우 엄중”… 美, 정보수집 통제 등 대책
미국 국가안보국(NSA)의 세계 35개국 정상 도청 파문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

각국에서 비난이 쏟아지고 있는 가운데 동아시아 및 한반도 상황을 고려할 때 박근혜 대통령을 비롯한 역대 한국 대통령도 NSA의 도청 대상에 포함됐을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정부는 이에 대한 사실관계 확인을 정식 요청했으나 미국 측은 “한국의 입장을 이해한다”는 원론적인 답변만 내놓은 채 침묵으로 일관하고 있다.

28일(현지시간) 외교소식통에 따르면 정부는 독일, 프랑스, 멕시코 등 각국 지도자 35명에 대한 미 정보기관의 도청 의혹이 제기된 직후 주미 한국대사관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미국 측에 박 대통령 등에 대한 도청 여부를 확인해달라고 요청했다.

정부는 이 과정에서 지난 7월 제기됐던 NSA의 주미 한국대사관 도청 의혹과는 달리 국가 정상 도청 의혹은 매우 엄중한 사안임을 강조했으며, 이에 미국 측은 우리 측 입장을 충분히 알고 있다고 밝힌 것으로 전해졌다.

외교소식통은 “우리 측이 이번 사태를 엄중하게 인식하고 있다는 뜻을 전하고 정보 요청을 했다”면서 “미국이 구체적인 답변은 내부 과정을 거쳐 줄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조태영 외교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 측에 외교경로를 통해 정식 확인을 요청했다”면서 “미국이 아직 확인을 해주지 않고 있어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중”이라고 설명했다. 조 대변인은 특히 “35개국 정상에 대한 도청이 있었으며 우리도 포함돼 있다는 보도가 있었다”면서 “이것이 사실이라면 매우 엄중한 일이다. (정부는) 거기에 맞게 대응해나가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지난 6월 말 미 중앙정보국(CIA) 전 직원 에드워드 스노든이 한국을 포함한 38개국 주미 대사관을 NSA가 도청했다고 폭로했을 때도 미국 측에 사실확인만 요청했을 뿐 뚜렷한 후속조치를 취하지 않아 흐지부지됐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조 대변인은 “정부는 당시 미국 측에 사실확인과 입장표명을 요구했다”면서 “미국으로부터 이 문제에 대해 동맹국들의 우려를 이해하고 미국 정부의 정보활동에 대한 재검토가 있을 것이라는 언급이 있었다. 우리 입장이 충분히 전달됐다고 본다”고 해명했다.

미국 정부는 국제사회의 비난이 거세지자 정보수집 관행을 통제하고 외국 지도자에 대한 정보수집을 중단하는 등 대책을 마련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제이 카니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우리도 정보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데 추가 통제가 필요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다”면서 “미국이 수집한 정보 자원이 외교정책 및 국가안보 목적에 부합하는지 재확인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김동진 기자, 워싱턴=박희준 특파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있지 유나 '반가운 손인사'
  • 에스파 카리나 '민낮도 아름다워'
  • 한소희 '완벽한 비율'
  • 최예나 '눈부신 미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