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과학고와 영재학교에 주로 지원돼온 연구주제 중심의 프로젝트 학습이 일반 고교로 확대된다. 내달부터는 대학의 전공교육을 군 복무·제대 후 취업과 연계한 ‘과학기술 전문사관’(가칭)이 단계적으로 도입된다. 정부는 지난 2일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11개 추진과제와 20개 핵심사업을 담은 ‘창의인재 육성방안’을 확정해 6일 발표했다.
미래창조과학부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이번 방안에서 정부는 인문학과 과학기술을 넘나드는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영재학교를 중심으로 진행되는 융합형 프로젝트 학습을 일반 고교에서 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내년부터 학교 내 아이디어와 상상력을 현실로 만들어보는 ‘무한상상실’을 설치하고, 이공계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해 과학기술과 정보통신기술(ICT)을 비롯한 유망 분야의 진로 정보를 제공하는 ‘과학기술인재 진로지원센터’를 구축하기로 했다. 영재학교와 과학고, 마이스터고, 특성화고에는 소프트웨어(SW) 전문 교육과정을 시범 도입해 관련 교육을 강화하고, 2015년에는 SW 마이스터고를 열 계획이다.
대학생의 인문학적 상상력을 키우기 위해 대학평가에 인문소양 교육 여부를 반영하고, 과학기술과 인문학을 융합한 강좌 개설을 유도하기로 했다. 누구나 관심 분야를 인터넷 공개강의로 공부하며 학점도 딸 수 있는 ‘열린 아카데미’도 추진한다. 정부는 또 군 복무에 따른 연구경력 단절을 막기 위해 대학의 전공교육을 군 복무에서 이어가고, 제대 후 취업까지 연계해주는 ‘과학기술 전문사관’을 단계적으로 도입하기로 했다. 군 복무자가 원격 수강으로 이수할 수 있는 학점도 한 해 6학점에서 12학점으로 확대했다.
![]() |
이창한 미래창조과학부 기획조정실장이 6일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미래부와 교육부, 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마련한 ‘창의인재 육성방안’을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
국내 인재가 세계 무대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글로벌창업지원센터’을 설립하고, 해외 취업에 성공한 청년에게 장려금을 지급하는 내용도 담았다. 아울러 고숙련 기능 인력에 입학 자격을 부여하는 ‘산업기술 명장대학원’을 신설하는 등 학위 취득 경로를 다양화해 평생교육 여건도 조성할 방침이다. 직업훈련 과정을 학점으로 인정하는 제도를 만들고, 한국형 ‘일·학습 듀얼 시스템’을 도입해 학생을 대상으로 기업현장 교육과 이론교육을 동시에 제공하는 체계를 갖추려는 것도 그 일환이다.
그러나 교육 현장의 목소리는 비관적이다. 그동안 각 부처가 추진했던 대책을 백화점식으로 나열하는 데 그쳐 새로울 게 없다는 지적과 함께 창의적인 인재 육성에 실패했던 이전 정부와도 차별화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그것이다. 인재를 고용해 창조경제 실현에 앞장서야 할 기업이 학벌이나 스펙(조건)을 보지 않고 창의성만 따져 인재를 채용할 수 있는 문화를 정착시킬 유인책도 부족해 ‘현실과 너무 동떨어졌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교육계 관계자는 “창의인재 육성 방안의 상당수가 이미 발표된 내용”이라며 “교육현장에서 창의성을 강조한 게 어제오늘의 일이 아닌데 정부 정책만으로 가능할지 의문”이라고 꼬집었다.
황계식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