靑 “대통합위 구성 작업 진행중” 박근혜 대통령의 집권 초 국민대통합 행보가 전혀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의욕이 왕성하더니 취임 한 달이 돼 가도록 감감무소식이다. 오히려 장·차관, 외청장 인사에서 ‘비탕평’ 논란을 자초하며 대통합 의지가 후퇴한 것 아니냐는 소리를 듣고 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19일 “국민대통합위원회 신설은 빨라야 4월 말 혹은 5월 초가 돼야 가능할 것”이라며 “국정기획수석실이 (위원회 구성) 작업을 진행 중인데 시간이 더 걸릴 예정”이라고 말했다.
대통합위는 대통령 자문기구 성격으로 이념, 노사, 시민단체 등 소위를 아우르는 모습으로 출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박 대통령은 대통합을 위한 구체적인 발걸음이나 관련 언급을 하지 않고 있다. 장·차관은 물론 4대 권력기관장, 17개 외청장 인선과정에서는 전문성을 이유로 대탕평, 대통합의 배려는 외면했다는 비판을 받는 상황이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대선에서 100% 국민행복과 함께 국민대통합을 위한 지역균형발전, 지방재정 확충, 실질적 지방분권을 위한 지방행정제도 개선 등을 공약으로 제시했다. 약속에만 그치지 않고 8월19일 대선후보 수락연설 첫 머리에 국민대통합을 내세우며 “새로운 대한민국을 만드는 큰 길에 모든 분들이 기꺼이 동참할 수 있도록 저부터 대화합을 위해 앞장서겠다”고 다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러나 취임 후 공식 석상에서 ‘국민대통합’이라는 단어를 단 한 차례도 꺼내지 않았다. 지난달 25일 취임사에서도, 3·1절 기념사에서도 통합이란 단어는 등장하지 않았다. 정부조직법 개정안 처리가 지연돼 청와대와 정부가 온전히 제일을 할 수 없었던 탓이라는 변명도 없지 않다. 하지만 국민대통합을 위한 가시적 내용이 전혀 보이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이제 막 정부가 제대로 일할 수 있는 여건이 갖춰지고 있다”며 “대통합 관련 구상을 구체화하는 작업에도 속도가 붙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재홍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