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요사는 1952년 불과 16세에 희곡으로 문단에 데뷔하여 산마르코스 대학에서 수학한 뒤 스페인 마드리드대학에서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페루 북부 도시 피우라에서 신문기자 생활을 했고 영국 런던대, 미국 워싱턴 주립대와 뉴욕 컬럼비아대학 등지에서 강의를 하기도 했다. 그의 출세작은 1963년에 출간한 두 번째 작품집이면서 첫 장편소설인 ‘도시와 개들(원제:사기꾼 Los Impostores)’이었다. 이 작품은 초기 요사의 작품세계를 웅변한다.
‘레온시오 프라도(Leoncio Prado)’라는 군사학교가 그 배경으로, 우리네 고등학교 과정에 해당되는 이곳의 학생들은 모두 군복을 입고 기숙사에서 내무반 생활을 하듯 합숙해야 한다. 요사 자신이 다녔던 군사학교를 배경으로 집필한 이 작품은 학생들 간의 알력과 학교의 대응 과정을 통해 페루의 정치 현실을 신랄하게 풍자한다. 그룹의 규칙이 학교의 규칙보다 더 우선인 이 세계에서 학생들은 사디즘, 변태행위, 자위행위, 동물을 상대로 한 행위, 동성연애 등으로 탈출구를 찾기도 한다. 요사는 이 작품을 통해 페루 사회의 가장 큰 문제점인 군사문화의 잔재를 비판하고 있다. 군사학교 ‘레온시오 프라도’라는 페루의 소우주에는 폭력과 위선, 비리가 판을 치는데 이 구조적인 모순에 적극적으로 동조하는 이들만이 체제의 선민으로 살아남을 수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 작품으로 ‘남미 비평가상’을 받았고, 이어 집필한 ‘녹색의 집’으로는 남미 최고 권위의 ‘로물로 가예고스 국제문학상’을 수상했다. ‘녹색의 집’은 근대화를 빌미로 이루어지는 아마존 토착민들에 대한 착취, 가톨릭 문명을 전해준다는 미명으로 아이들을 강제로 데려오는 수녀들과의 갈등 속에 파생하는 비극을 다룬다. 이 작품으로는 페루 국가상, 에스파냐 비평상도 수상해 세계적인 명성을 얻었다. 하지만 요사는 이후 쿠바혁명과 카스트로에 회의를 느끼고 우파로 전향하기 시작해 초기 작품에서 보여준 좌파적이고 사회 고발적인 성향을 거두어 들이는 대신, 1970년대 후반부터 신자유주의와 자유시장경제를 지지한다.
1990년에는 급기야 우파연합 대통령 후보로 출마하지만 알베르토 후지모리에게 패한 뒤 스페인 국적을 취득해 런던과 스페인을 오가며 집필 생활에 전념했다.
![]() |
◇‘도시와 개들’ 무대인 페루 군사학교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의 출세작 ‘도시와 개들’ 무대인 페루 리마의 군사학교 ‘레온시오 프라도’. 외국인은 물론 내국인의 방문까지 철저하게 통제하는 이 학교에 2000년 10월 남미 문학기행 길에 방문해 한국인으로는 유일하게 수업 장면을 촬영했다. 세계일보에 연재한 ‘중남미-아프리카 문학기행’을 단행본으로 엮은 ‘키스는 키스 한숨은 한숨’(2003년, 마음산책)에 요사의 작품 무대 답사기가 수록돼 있다. 조용호 선임기자 |
요사는 직접화법과 간접화법을 혼용한 다양한 실험정신을 선보였으며, 유명한 미술작품을 삽입하여 소설 속의 인물과 상관관계를 갖게 하고 여러 사건을 번갈아 기술하는 등의 새로운 기법을 시도했다. 소설뿐만 아니라 희곡·평론·수필 등을 섭렵하면서 여러 장르에서 문학적 성과를 거두었으며, 1995년 이러한 공로를 인정받아 에스파냐어권에서 가장 권위있는 문학상인 ‘세르반테스상’을 받았다.
국내에는 ‘새엄마 찬양’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나는 훌리아 아주머니와 결혼했다’ ‘따끄나의 아가씨’ ‘리고베르토씨의 비밀노트’ ‘젊은 소설가에게 보내는 편지’ ‘녹색의 집’ ‘궁둥이’ ‘미라 플로레스에서 생긴 일’ 등 이미 요사의 많은 작품들이 다수 번역 출간된 상태이지만, 정작 그의 작품세계를 체계적으로 보여주는 책들은 아직 충분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국내 출판계에 요사 열풍이 몰아칠 전망이다.
조용호 선임기자 jhoy@segye.com
■1990년 이후 노벨문학상 수상자 | (*여성 수상자) | |||
연도 | 수상자 | 국 적 | 분 야 | |
1990 | 옥타비오 파스 | 스페인 | 시 | |
1991 | 네이딘 고디어* | 남아공 | 소설 | |
1992 | 데렉 월컷 | 세인트루시아 | 시 | |
1993 | 토니 모리슨* | 미국 | 소설 | |
1994 | 오에 겐자부로 | 일본 | 소설 | |
1995 | 셰이머스 히니 | 아일랜드 | 시 | |
1996 | 비수아바 심보르스카* | 폴란드 | 시 | |
1997 | 다리오 포 | 이탈리아 | 희곡 | |
1998 | 주제 사라마구 | 포르투갈 | 소설 | |
1999 | 귄터 그라스 | 독일 | 소설 | |
2000 | 가오싱젠 | 프랑스 | 소설 | |
2001 | V.S. 나이폴 | 트리니다드 | 소설 | |
2002 | 임레 케르테스 | 헝가리 | 소설 | |
2003 | 존 맥스웰 쿠치 | 남아공 | 소설 | |
2004 | 엘프리데 옐리네크* | 오스트리아 | 소설 | |
2005 | 해럴드 핀터 | 영국 | 희곡 | |
2006 | 오르한 파묵 | 터키 | 소설 | |
2007 | 도리스 레싱* | 영국 | 소설 | |
2008 | 장 마리 귀스타브 르 클레지오 | 프랑스 | 소설 | |
2009 | 헤르타 뮐러* | 독일 | 소설 | |
2010 |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 페루 | 소설 |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