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여권 한심한 ‘3無’ 세종시 수정 추진

입력 : 2009-11-05 23:43:25 수정 : 2009-11-05 23:43:25

인쇄 메일 url 공유 - +

① MB 수정추진 대국민 설명 안해 반발 불러
② 친박계 사전 설득작업 없어 당내갈등 초래
③ 정부안 제시 등 대책 없이 일 벌여 혼란 증폭
여권의 세종시 추진 방식이 한심하다. 필요 이상의 내부 갈등과 국민 혼란을 자초해서다.

세종시는 지난 9월3일 정운찬 총리 내정자가 “원안 추진을 재검토하겠다”고 불쑥 말하면서 정국의 뇌관으로 떠올랐다. 이후 갖가지 논란과 대립이 확산되면서 국론 분열이 심화되는 양상이다. 그런데도 정부는 두 달이 지나서야 수정 추진 방침을 공식화했다. 온 나라가 오래전 ‘벌떼’로 난리법석인데, 정부는 이제 ‘벌집 쑤시기’를 선언한 꼴이다.

◇국회 대정부질문 첫날인 5일 정운찬 총리(왼쪽)가 국회 본회의장에서 민주당 김영진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이범석 기자
여권의 접근법은 충격을 줄이는 선행조치 세 가지를 모두 무시했다. 우선 이명박 대통령의 대국민 설명이다. 관건은 원안 추진 약속을 저버린 데 대한 해명과 사과다. 충청권 반발은 ‘원안 VS 수정안’의 유불리에 대한 이성적 판단보다 감정적 측면에서 비롯한 게 크다. ‘배신감’이 불씨다. 약속을 앞세운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의 원안 고수 발언 후 지지여론이 올라간 것은 이와 무관치 않다. 이 대통령은 그러나 4일 수정 입장을 처음 공개한 자리에서도 약속 부분에 관해선 여전히 침묵했다. 이에 대해 청와대 정무라인 핵심 관계자는 5일 “대통령이 국민에게 직접 설명할 때는 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아무 때나 나설 수는 없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그러나 사과 여부에 대해선 언급을 피했다.

여권 내부, 특히 친박계에 대한 설득 작업도 없었다. 악화일로인 당내 계파 대결은 박 전 대표로부터 동의는 물론 최소한의 ‘양해’도 얻지 못했다는 반증이다. 이 대통령은 박 전 대표에게 지난 9월 청와대 회동에서 세종시 수정의 취지를 전한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박 전 대표는 잠자코 듣기만 해서 묵시적으로 수용한 것으로 보였다”고 여권의 핵심 관계자가 전했다. 그러나 친박 측은 “그럴때 가만 있을 박 전 대표가 아니다”고 일축했다. 친박계 거부가 계속되면 수정 계획은 어찌될지 모른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충분히 우리 의견을 전했다”며 “정책사안을 정치사안으로 몰아가선 안 된다”고 불만을 표했다.

‘준비’ 없이 일을 벌인 것도 문제다. 뇌관의 폭발력을 감안했다면 대책을 벌써 내놓고 국민을 설득하며 수정 시도를 하는 게 상식적인 수순이다. 그러나 수정안은 아직도 오리무중이다. “자족기능 어쩌구 하는데 뭘 알아야 해먹지”라는 친이계의 볼멘소리가 높다. 세종시 전략이 엉성하다 보니 작금의 논란이 ‘의도된’ 것이 아니냐는 관측까지 나온다. 여권 핵심부 셈법이 “지칠 때 손 쓰면 효과적”이라는 시각에서다.

허범구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최지우 '완벽한 미모'
  • 전지현 '눈부신 등장'
  • 츄 '상큼 하트'
  • 강지영 '우아한 미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