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일 통계청에 따르면 40여년 후인 2050년에 우리나라의 65세 이상 노인인구 비중은 전체 인구의 38.2%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는 2000년 고령화사회(노인인구 7% 이상)에 진입했다. 고령사회(〃 14% 이상) 진입도 2018년으로 ‘예약’돼 있다. 이런 추세라면 노인인구 증가에 가속이 붙어 2050년이면 그야말로 아직 학계에서도 규정돼 있지 않은 ‘초초고령사회’ 격이 되는 것이다.
우리나라 65세 이상 구성비는 2010년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30개국 중 27위지만 2050년에는 일본을 제치고 1위로 올라설 것으로 예상돼 ‘늙은 국가’로 얼마나 빠르게 변모되는지 그 심각성을 보여준다.
상황은 갈수록 더욱 심각해져 80세 이상 고령인구 비중의 경우 2010년 1.9%로 선진국(4.3%)보다 낮지만 2050년에는 14.5%로 선진국(9.5%) 수준을 뛰어넘을 것으로 추정됐다. 그 결과 우리나라 인구의 중위연령이 56.7세로 선진국(45.6세), 아시아(40.2세)보다 높고, 0∼1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비율을 보여주는 노령화지수도 2010년 68에서 429로 급등해 선진국의 170보다 크게 높아질 것으로 관측됐다.
또 15∼64세 인구 100명당 65세 이상 인구 비율인 노년부양비도 2010년 15로 선진국(24)보다 낮지만 2050년 72로 선진국 평균인 45를 크게 앞지를 전망이다. 생산인구 3명이 노인 2명 이상을 부양해야 한다는 의미다. 보통 55세가 되면 정년을 넘겨 은퇴해야 하는 우리 현실을 적용하면 생산인구 1명이 노인 1명을 일대일로 보살펴야 하는 셈이다.
우리나라가 초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경우 지금 벌어지고 있는 ‘빈부갈등’을 뛰어넘는 젊은이와 노인 세대의 갈등이 커질 수도 있다. 일자리는 한정된 상황에서 이를 놓고 벌어지는 젊은이와 노인들 간 충돌도 쉽게 예상할 수 있다.
더구나 현재의 시스템으로는 2060년이면 고갈될 것으로 분석되는 국민연금은 연금을 더 걷거나 수령액을 줄이는 방안을 서둘러 마련해야 할 전망이다. 또 병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는 노인인구가 많아짐에 따라 건강보험료 지출도 눈덩이처럼 불어나게 된다.
이상혁 기자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