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 처장은 이날 오전 평화방송(PBC) 라디오 '열린세상 오늘! 이석우입니다'에서 "디도스 공격으로 일부 은행들의 인터넷뱅킹이 지연되는 불편함은 있었으나 지금은 거의 정상화됐으며 불법 자금이체나 정보 유출 등의 금융 사고 피해도 발생하지 않았다"며 이 같이 말했다.
그는 해커들이 금융기관 돈을 인출해갈 가능성에 대해 "아직 그런 사실은 보고받지 않았다"며 "디도스 공격으로 접속 과부화로 서비스가 중단되는 문제는 있으나 정보 유출이나 불법 자금 이체할 가능성은 별로 없다"고 언급했다.
그는 "다만 디도스 공격이 계속되면 상황이 악화할 수 있어 단계별 비상계획을 만들어놓고 있으며 전 금융권도 24시간 비상대응반을 가동 중"이라며 "고객은 인터넷뱅킹에 접속하기 전에 정보보호 업체가 제공하는 백신 프로그램을 이용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권 처장은 또 은행들의 인수.합병(M&A) 움직임에 대해 "최근 언론에서 각종 M&A 시나리오가 제기됐으나 자체 파악 결과 구체적으로 진행되는 것은 없다"며 "지금은 국내 금융기관들이 외형 확대를 추구할 시기는 아니며 구조조정이나 부실채권 정리 등의 내실 경영을 다지는 게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최근 일부 지역 중심의 부동산 가격 상승세가 추세적으로 지속될지는 아직 불투명하다"며 "다만 돈이 몰리는 특정 지역 중심으로 부동산 가격이 더 오를 가능성이 있는 만큼 금융기관 건전성과 연계해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선별적, 탄력적으로 적용하는 게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그는 "최근 수도권 중심으로 담보인정비율(LTV) 규제를 강화한 만큼 1~2개월 간 부동산시장과 주택담보대출 증가 속도를 모니터링한 후에 (총부채상환비율(DTI) 등의 추가 규제 강화 등) 후속 대응여부를 판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현재 대출 금리는 부담이 크지 않다고 볼 수 있으나 경기회복이 가시화해 금리가 상승할 가능성이 있다"며 "가계 부채가 많고 저축률이 낮은 국내 여건상 경기회복이 더뎌지면 가계의 부담이 커질 수 있고 금융회사 건전성도 나빠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고객은 금리 변동에 취약한 변동금리와 고정금리 대출의 장단점을 잘 따져 선택해야 한다"며 "은행들도 창구에서 고정금리 대출이나 금리 상한 대출 상품을 판매하도록 지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하반기에 세법개정안을 정기 국회에 제출해 내년부터 최고 2%까지 금리 혜택을 제공하는 녹색예금과 녹색채권이 출시되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