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수는 9일 자신의 블로그에 ‘7·7 사이버 대란이 주는 교훈’이란 제목의 글을 올리고 “이번 사태가 불행한 일이기는 하지만, 전국민적인 관심이 높아진 것은 장기적으로 다행한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번 사태에서 “보안 사고의 패러다임이 특정 국가나 단체 공격으로 바뀌었기 때문에 우리도 나라 자체적으로 대응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번 인터넷 대란은 특정 국가, 정부기관, 회사를 공격해서 일어난 보안사고인 만큼 앞으로도 이런 경향은 더욱 심해질 수밖에 없다고 전망했다. 따라서 “자국의 기술과 전문 인력을 키워 사명감을 갖고 사이버 안보를 책임질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안교수는 네티즌에 대해서도 자발적인 협조도 당부했다.
그는 이번 사태에서 개인용 컴퓨터가 해킹의 목표가 되고 이들을 좀비 컴퓨터로 만들어 큰 기관을 공격하는데 이용된 점을 들어 “더이상 특정한 기술자나 기관에서 안전을 담보하기에는 역부족인 상황”이라고 진단했다. 보안의 하향평준화가 일어나면서, 아무리 전문가가 많은 집단이라 할지라도 한사람의 초보자가 전체조직의 보안 수준을 결정하게 됐다는 것이다. 그는 “컴퓨터를 사용하는 전 네티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지 않으면 국가 전체의 사이버 안전을 담보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안 교수는 미국, 일본 등 선진국이 10년 전부터 전체 예산의 10% 정도를 보안에 투자하고 있지만 우리 정부는 1% 투자에 그치고 있다며 “이제부터라도 사이버 보안, 국가적인 위험관리 체계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가 일어나야 한다”고 당부했다.
조수영 기자 delinews@segye.com
세계일보 온라인뉴스부 bodo@segye.com, 팀블로그 http://net.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