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단 설립추진위 송정호 위원장(전 법무장관)은 6일 청와대 브리핑에서 "이 대통령이 출연한 건물의 임대료가 재단 사업의 재원"이라며 "월 임대료 수입은 9천여만원, 1년에 11억원 가까운 돈이 된다. 그중 약간의 관리비를 빼고 사업을 할 수 있지 않을까 예상한다"고 밝혔다.
재단의 장학 및 복지사업 수혜대상은 재단 임원들이 추후 논의를 거쳐 결정할 사안이지만 현재로서는 초.중.고교생이 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고교 등록금과 초.중.고생의 식비 등 각종 학업 부대비용을 지원해주는 쪽으로 방향을 잡을 것이라는 관측이다.
만약 1인당 500만원의 혜택을 받게 된다고 가정한다면 11억원 정도면 대략 200명 이상이 지원받을 수 있는 규모다.
이 같은 지원사업은 빠르면 한 달 후부터 개시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재단의 설립이 한달내 이뤄질 예정이기 때문이다.
송 위원장은 "최장 3개월이 걸리는 재단설립과 관련한 각종 절차를 최대한 단축해 앞으로 한달내에 이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추진위가 6일 법인설립 신청서를 작성해 관할 교육청에 제출하면 교육청은 1, 2차 검토를 거쳐 허가서를 내주게 된다.
이어 추진위는 법인 명의로 이 대통령의 출연 재산을 이전하고 법인 설립 등기를 신청하게 되며 관할 세무서에서 법인 설립 신고와 사업자 등록을 한 뒤 재산 이전 보고를 교육청에 하게 되면 재단 설립과 관련한 모든 절차가 완료된다.
재단 임원으로는 송 위원장이 이사장을 맡게 되고, 초대 대통령실장이었던 류우익 서울대 교수와 이 대통령의 고려대 동기동창인 김승유 하나금융지주회장, 초대 청와대 사회정책수석을 지낸 박미석 숙명여대 교수, 김도연 울산대 총장, 유장희 이화여대 명예교수, 이왕재 서울대 의대 교수, 문애란 퍼블리시스웰콤 대표, 이재후 김&장 법률사무소 대표변호사, 이상주 변호사가 선임될 예정이다. 재단 설립 추진위에 참여했던 소설가 박범신씨는 이사직을 고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재단 설립 추진위가 지난 3월 발족, 4개월간이나 논의를 지속한데 대해 송 위원장은 "열사의 땅에서 해외건설 등 산업역군으로 뛰면서 깨끗하게 모은 대통령 개인의 소중한 재산이 가장 뜻있게 쓰이도록 하기 위해 심사숙고를 거듭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그동안 재단설립을 빨리 진행해야 한다는 의견이 많았으나 이 대통령은 충분한 시간을 갖고 내실을 기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인식을 갖고 있었다. 또 오른손이 하는 일을 왼손이 모르게 해야 한다는 개인철학의 영향도 있었다"면서 "최고 지도자 재임 중에 재산 대부분을 사회에 기부한 것은 세계 정치사에 유례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동안 자산가로 알려졌던 이 대통령이 이번 재산 사회기부 이후 어느 정도의 잔여 재산을 갖게 되는지도 세인의 관심을 끌고 있다.
청와대는 331억4천200만원의 재산을 사회에 기부하고 나면 이 대통령의 잔여재산은 강남구 논현동 자택(44억2천500만원)과 각종 스포츠 회원권 및 예금(4억8천100만원) 등 49억600만원이라고 밝혔다.
미국법원에서 진행되고 있는 소송채권(Lke뱅크 지분) 30억원 어치도 남아 있지만 Lke뱅크는 이미 청산된 만큼 자산가치는 사실상 `제로(0)'라는 게 청와대의 설명이다.
<연합>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