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혹감 속에 ‘좀 더 지켜보자’는 신중론과 ‘화합하려고 내민 손을 박 전 대표가 뿌리친 것 아니냐’는 불만 기류가 혼재했다.
공성진 최고위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국민들의 요구에 따라 이명박 대통령이 화합카드를 꺼낸 지 하루 만에 박 전 대표가 거부해서 모양이 좋지 않게 됐다”며 “친이계가 이제는 국민만 바라보고 열심히 잘해서 국민들한테 직접 평가받는 수밖에 더 있겠느냐”고 반문했다.
한 친이계 초선의원도 “박 전 대표의 입장을 이해한다 해도 당이 위기인 상황에서 화해 제스처를 바로 거부한 것은 적절하지 않은 것 같다”며 “당 분열 책임과 관련해 친박계도 국민의 심판을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분열 고착화를 우려하는 신중론도 상당했다.
이 대통령 측근인 이춘식 의원은 “박 전 대표가 원내대표 선출 절차상의 문제를 지적한 것인지, ‘김무성 원내대표’ 자체를 반대한 것인지 아직 불분명하다”며 “박 전 대표의 정확한 의중을 알기 전까지는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소장파 그룹에서도 입장이 엇갈렸다. 권영세 의원은 “계파 갈등의 1차적 책임은 친이 주류 측에 있지만, 주류 측의 성의에 친박 진영도 화답할 의무가 있다”며 박 전 대표의 거부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그러나 ‘민본21’ 소속 김성식 의원은 “화합책으로 거론되는 원내대표 문제도 두 분(이 대통령과 박 전 대표)의 진정한 화해와 화합이 전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강은 기자 kelee@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