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국정자원 화재 장애 시스템 복구율 24.1%…온나라 2.0 정상화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10-06 17:10:06 수정 : 2025-10-06 17:51:31
김유나 기자 yoo@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달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서비스 647개 중 156개가 복구됐다.

 

6일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시스템 장애 11일째인 이날 오후 12시 기준 서비스 복구율은 24.1%를 기록했다.

 

지난 2일 국가정보자원관리원 대전 본원 모습. 대전=뉴스1

앞서 지난달 26일 국정자원에 발생한 화재로 정보시스템 647개가 중단됐고, 이중 1등급 업무 22개를 포함한 156개가 복구된 상태다.

 

전날 모바일공무원증, 통합개방관리시스템 홈페이지, 정부청사관리본부 대표홈페이지(국문·영문), 공공기관 전자우편 시스템인 온메일 등이 복구된 데 이어 이날 중앙부처 공무원들이 업무에 사용하는 온나라 문서 2.0 시스템이 복구돼 온나라 문서와 메모 보고 사용이 가능해졌다.

 

공무원들은 지난달 국정자원 대전본원 화재 이후 정부 전산망이 마비되면서 수기 등으로 업무를 진행해왔으나 시스템이 일부 복구돼 업무 효율성이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시스템 마비 후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해 복구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당시 화재로 전소된 대전 본원 7-1 전산실 내에 있어 직접 피해를 본 정보시스템 96개를 대구센터로 이전해 복구 속도를 높인다는 계획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 3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행정정보시스템 화재 관련 중대본 9차 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뉴스1

한편 이번 화재 여파로 국가전산망 장애담당팀을 총괄하던 행전안전부 공무원이 사망해 공직사회가 충격에 빠졌다. 행안부 등에 따르면 3일 오전 10시50분쯤 세종시 어진동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인근 바닥에서 행안부 소속 공무원 A씨가 심정지 상태로 발견됐다. 경찰은 A씨가 스스로 목숨을 끊은 것으로 추정했다. A씨는 국정자원 화재 사고 관련 업무를 담당해왔다.

 

화재와 관련해 수사에 착수한 대전경찰청 국정자원 화재 전담수사팀은 현재까지 국정자원 관계자 1명과 배터리 이전 공사 현장 업체 관계자 2명, 작업 감리업체 관계자 1명을 업무상 실화 혐의로 입건한 상태다. 다만 A씨는 현재까지 참고인 조사나 수사 대상에는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재명 대통령은 공무원 사망과 관련해 4일 “국민 일상 회복과 국가 위기 극복을 위해 막중한 책임감으로 밤낮없이 묵묵히 애쓰는 공무원들의 근무 여건 개선에도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고 당부했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