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엄마! 발음도 어눌하고 웃는 표정이 왜 그래?”…추석에 만난 부모님 ‘이 증상’ 보인다면 [수민이가 걱정해요]

관련이슈 이슈플러스 , 수민이가 궁금해요

입력 : 2025-10-06 13:25:08 수정 : 2025-10-06 13:26:48
김기환 기자 kkh@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골든타임 중요한 뇌졸중
표정·발음 어색해지면 의심

심장 펌프 기능 떨어지는 심부전
기침·호흡곤란·다리부종 증상

명절에는 가족과 함께 지내는 시간이 길어진다. 일상 대화 속 부모님의 건강 상태를 살펴보고, 평소와 다르게 이상 증세를 보인다면 가벼운 것이라도 놓치지 말고 병원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다. 갑자기 표정이 어색해지거나 말이 어눌해지는 경우, 기침이나 다리 부종 같은 흔한 증상도 심각한 질환의 신호가 될 수 있다. 골든타임이 특히 중요한 질환으로는 뇌혈관질환이 있다.

 

6일 서울아산병원에 따르면 뇌졸중은 뇌의 일부분에 혈액을 공급하는 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 조직이 손상되는 질환이다. 혈관이 막혀 뇌가 손상되면 뇌경색이고 결국 혈관이 터지면 뇌출혈이다. 둘을 합쳐서 뇌졸중이라고 한다.

 

사진=게티이미지뱅크

뇌졸중은 55세 이후로 발병률이 높아진다. 연령이 10세 증가할 때마다 뇌졸중 발생률은 약 2배씩 늘어난다. 고령자일수록 더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급성 뇌경색의 경우 발병 직후 최대 3시간 안에 막힌 혈관을 뚫어 줘야 뇌 손상률을 낮출 수 있다. 따라서 고령자의 뇌졸중 증상을 미리 식별해 조기에 치료를 받게 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서울아산병원 신경과 김범준 교수는 "대한뇌졸중학회에서는 국민들이 뇌졸중 의심 증상을 조기에 감별할 수 있도록 '이웃손발시선'이라는 식별법을 개발해 홍보하고 있다"며 이를 소개했다.

 

이웃손발시선 식별법은 ▲이~ 하고 웃을 수 있는지 ▲두 손을 앞으로 뻗을 수 있는지 ▲발음이 명확한지 ▲시선이 한쪽으로 쏠리지 않는지를 살펴보는 방법이다.

 

각각 안면 마비, 편측 마비, 발음 장애, 시력 장애를 확인하는 것으로, 뇌졸중 고위험군이 한 가지라도 이를 수행할 수 없다면 병원을 방문하는 것이 좋다.

 

심혈관 질환은 갑자기 찾아오는 것이 아닌 서서히 다가오는 병이다. 게티이미지뱅크

혈액을 펌프질하는 심장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질환인 심부전도 나이가 들수록 발생이 증가하는 병이다.

 

서울대병원에 따르면 국내 인구 약 2.6% 가량이 심부전을 앓고 있다. 특히 70대 이상부터 발생률이 급격히 증가해 80세 이상의 5명 중 1명은 심부전 환자인 것으로 파악됐다.

 

심부전은 급성과 만성으로 구분하며, 급성 심부전은 1주일 이내에 갑자기 발생하고 만성 심부전은 심장 기능이 서서히 감소해 발생한다.

 

심부전은 약물 치료로 그 증상을 상당히 개선할 수 있다. 대부분을 차지하는 만성 심부전의 경우 최근 들어 여러 치료제가 개발돼 1990년대에는 35%에 달했던 2년 사망률이 최근 9%대로 떨어졌다.

 

심부전의 증상은 기침 등인데, 심장 질환이 아닌 호흡기 질환으로 혼동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주의 깊게 살펴보는 것이 좋다.

 

서울대병원 순환기내과 이해영 교수는 "심부전의 대표 증상은 호흡곤란으로, 특히 누워있을 때 숨이 가빠지는 증상이 나타나며 기침이 날 수 있다. 상체를 세울수록 호흡이 편해지는 경향이 있다"고 설명했다.

 

또 다른 증상은 다리 부종이다. 평소에는 부종이 심하지 않았는데, 최근 부종이 심해졌다면 손가락으로 부종 부위를 눌러 자가 진단한다. 손가락으로 눌렀을 때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데까지 1∼2분이 걸린다면 병원에 방문해보는 것이 좋다.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수지 '매력적인 눈빛'
  • 아일릿 원희 '반가운 손인사'
  • 미야오 엘라 '시크한 손하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