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금빛으로 깨어난 백제의 기억…정읍 은선리·도계리 고분군서 유물 무더기 확인

관련이슈 디지털기획

입력 : 2025-08-26 16:17:37 수정 : 2025-08-26 16:17:37
정읍=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전북 정읍 땅 깊숙이 묻혀 있던 백제의 이야기가 금빛 장신구와 함께 세상 위로 올라왔다.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에서 최근 발굴된 금제 구슬과 화형 장식, 청동 팔찌와 유리 구슬들은 단순한 장신구를 넘어 이 지역이 백제의 심장부였음을 웅변한다.

 

전북 정읍시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 발굴 현장. 정읍시 제공

26일 정읍시에 따르면 국가유산청 보수 정비 사업 일환으로 사적으로 지정된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을 대상으로 정밀 발굴 조사를 진행해 삼족토기와 광구장경호, 대부완 등 백제계 토기류와 철기류, 그리고 화려하면서도 정교한 금제 장신구가 무더기로 확인했다.

 

학계는 이번 출토품이 백제 한성기와 웅진기의 유적들과 비교 가능한 수준이라며 주목한다. 성남 판교와 하남 감일동, 공주 금학동, 군산 여방리에서 나온 유물들과 어깨를 나란히 한다는 사실은 정읍이 백제 문화권의 변두리가 아닌 ‘중심’ 무대였다는 점을 다시 한번 보여준다.

 

전북 정읍시 은선리와 도계리 고분군에서 최근 발굴된 금제 장신구류와 삼족토기 등 백제계 토기류, 철기류. 정읍시 제공

고분군은 영원면 일대 2㎞ 구간에 걸쳐 270여 기가 분포하며, 특히 횡혈식 석실분 56기가 집중된 곳이다. 일부 고분은 도굴로 훼손됐지만, 남은 흔적만으로도 당시 지방 지배 세력의 정치적 위상과 사회적 네트워크를 엿볼 수 있다.

 

이학수 정읍시장은 “이번 발굴 성과로 정읍의 백제 중심지 위상이 다시 확인됐다”며 “학술적 가치를 널리 알리고, 유적을 시민과 관광객이 체감할 수 있는 자원으로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정읍=김동욱 기자 kdw7636@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아이유 '눈부신 미모'
  • 이주빈 '깜찍한 볼콕'
  • 신은수 ‘심쿵’
  • 서예지 '반가운 손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