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젊은층까지 위협하는 '부정맥' 환자가 급속히 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25일 공개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정맥으로 치료받은 환자는 2020년 40만3000명에서 2024년 50만1000명으로 4년간 24.5% 급증했다. 연평균 6% 이상 증가세를 기록한 셈이다.
주목할 점은 젊은층 환자 비중이 상당하다는 사실이다. 2024년 기준 30~40대가 전체 환자의 11.6%를 차지했고, 50대도 17.3%에 달했다.
부정맥은 심장박동 리듬에 이상이 생기는 질환이다. 건강한 심장은 하루 10만회 가량 일정하게 뛰지만, 부정맥 환자는 맥박이 비정상적으로 빨라지거나 느려지는 증상을 보인다.
정상 심박수인 분당 60~100회를 벗어나 100회 이상 뛰면 '빈맥', 60회 미만이면 '서맥'으로 구분한다. 심박수는 정상이지만 불규칙하게 뛰는 '기외수축'도 부정맥의 한 종류다.
심장 내 전기신호 체계에 문제가 생기면서 발생하는 부정맥은 종류에 따라 위험도가 천차만별이다. 일부는 생명에 직접적 위험을 주지 않지만, 악성 부정맥의 경우 돌연사까지 유발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실제로 심장마비로 인한 돌연사의 상당수가 부정맥과 연관성을 보이고 있다는 게 의료계 분석이다.
의료진들은 스트레스와 과로, 불규칙한 생활패턴 등이 젊은층 부정맥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하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활동량 감소와 정신적 스트레스 증가가 심장 건강에 악영향을 미쳤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