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일보

검색

환율·국제유가 오름세… 수입물가 6개월 만 상승

입력 : 2025-08-14 16:35:50 수정 : 2025-08-14 16:35:49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인쇄 메일 url 공유 - +

지난달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서 수입물가가 6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13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7월 수출입물가지수 및 무역지수’에 따르면 지난달 수입물가지수는 134.87(2020=100·원화 기준 잠정치)로 전월(133.73)보다 0.9% 올랐다. 지난 1월(145.08) 이후 6개월 만의 상승세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5.9% 하락해 넉 달 연속 내림세를 이어갔다.

부산항 신선대부두 야적장에 컨테이너가 가득 쌓여 있는 모습. 뉴스1

국제유가와 원·달러 환율이 모두 상승하면서 수입물가가 반등했다. 두바이유 가격은 지난 6월 평균 배럴당 69.26달러에서 7월 평균 70.87달러로 2.3% 올랐다. 원·달러 환율은 6월 평균 1366.95원에서 7월 1375.22원으로 0.6% 상승했다.

 

분류별로 보면 원재료는 농림수산품(-0.8%)은 하락했지만, 원유 등 광산품(+1.8%)이 오르며 전월 대비 1.5% 상승했다. 중간재는 컴퓨터·전자및광학기기(+1.6%), 화학제품(+0.8%) 등이 오르며 전월 대비 0.6% 상승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각각 전월 대비 0.5% 상승했다. 

 

특히 전월 대비 상승 폭이 높았던 수입품은 수연광석(+6.2%), 플래시메모리(+4.9%), 원유(+2.9%), 2차전지(+2.3%) 등이다. 반면 커피(-10.9%), 프로판가스(-3.6%)는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자료=한국은행

지난달 수출물가지수는 전월 대비 1% 상승했다. 전년 동월 대비로는 4.3% 하락했다. 

 

품목별로 보면 공산품은 전월 대비 1% 상승했다. D램(+8.6%) 등이 오르면서 컴퓨터·전자 및 광학기기가 2.8% 상승했다. 석탄 및 석유제품(+1.9%), 1차 금속제품(+1.2%)도 상승세였다. 

 

농림수산품은 냉동수산물(+5.1%) 등이 오른 영향으로 전월 대비 4.2% 상승했다. 

 

다만 원·달러 환율 상승 영향으로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전월 대비 0.4% 상승했다. 


윤솔 기자 sol.yun@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피니언

포토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앳하트 서현 '여신 미모'
  • 엄정화 '반가운 인사'
  • 이엘 '완벽한 미모'
  • 조여정 ‘아름다운 미소’